예장통합, 이색 헌의안 만발… 核·통일 등 시대적 변화 반영

입력 2013-08-26 17:36 수정 2013-08-26 21:37

다음 달 열리는 주요 교단 총회에서는 자살과 원전 등 민감한 사회적 이슈도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26일 예장통합총회(총회장 손달익 목사) 헌의위원회에 따르면 강원동노회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인 자살과 관련, 교단 차원에서 신학·목회적 입장을 정리해달라고 청원했다. 강원동노회장 박홍길 목사는 제안 설명에서 “자살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성도들에게도 중요한 문제”라며 “특히 같은 기독교인이라도 자살과 구원 문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갖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고 청원 취지를 설명했다.

현재 교계에서는 “자살한 사람은 구원받지 못한다”는 주장과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이뤄지기에 자살은 구원과 직접 관련이 없다”는 신학적 입장이 맞서고 있다. 강원동노회는 또 핵발전소 건설에 대한 찬반이 엇갈리고 사회적 갈등이 유발되는 상황에서 핵에 대한 신학·성서적인 연구를 통해 교단 및 교회의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는 헌의안도 제출했다.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헌의안도 눈에 띈다. 용천노회 등 2곳은 “총회 부서인 ‘남북한선교통일위원회’ 명칭을 ‘통일선교부’로 바꿔 달라”고 요청했다. 용천노회장 김동부 목사는 “국가적으로도 통일부를 두고 통일시대를 준비하고 있는 만큼 교단차원에서도 북한선교와 통일 이후를 대비하는 일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할 때”라며 명칭 변경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예장통합교단은 1970년 제55회 총회에서 ‘북한선교회’를 설치한 이래 ‘북한전도대책위원회(1973년)’, ‘남북한선교협력위원회(1991년)’에 이어 1996년 제81회 총회 때 ‘남북한선교통일위원회’로 명칭을 바꿔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서울북노회장 문원순 목사는 찬송가에 애국가를 수록해달라고 청원했다. 문 목사는 “기독교인들에게 있어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는 것은 복음 전파와 더불어 아주 중요한 사명 중 하나”라며 “애국가를 찬송가에 수록하면 국가 기념주일 예배나 교회 등에서 필요할 때에 자유롭게 부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헌의위에 올라온 동일 안건 중 가장 많은 헌의안은 현행 ‘군·농어촌선교부’를 군선교부와 농어촌선교부로 분리해달라는 안으로 충청노회와 진주노회, 포항노회 등 9개 노회가 제출했다. ‘목회대물림금지법안’도 서울노회를 비롯해 경기노회, 대전노회, 평양노회, 대구동남노회 등 7개 노회로부터 올라와 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