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시리아 ‘화학무기 커넥션’ 의혹
입력 2013-08-25 18:36
2009년 10월 우리 정부가 부산항에 들어온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적발한 다량의 방호복이 북한이 시리아로 수출하려 한 화학무기 관련 물자였던 것으로 뒤늦게 드러났다. 이는 화학무기 사용 의혹이 제기되는 시리아와 북한의 ‘화학무기 커넥션’을 뒷받침하는 정황 증거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24일(현지시간) 유엔 대북제재전문가 패널 보고서에 따르면 전문가 패널은 지난해 정밀조사를 벌인 결과 2009년 10월 부산항에서 적발된 방호복이 같은 해 11월 북한이 시리아로 수출하려다 그리스 당국에 의해 적발된 화생방 방호복과 동일한 제품이라는 사실을 파악했다.
당시 정부는 북한 관련 ‘위해물품’이 적재된 것으로 의심하고 해당 선박에 대한 검색을 실시해 다량의 방호복을 압수했으나 위해물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전문가 패널은 지난해 보고서(S/2012/422)에서 “북한이 화학무기 관련 물자를 시리아로 보내려다가 적발된 두 건의 케이스는 서로 연계돼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고 밝혔다.
부산신항에서 적발된 파나마 국적의 컨테이너 운반선인 MSC 레이첼호는 2009년 9월 북한 남포에서 기항해 중국 다롄항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항을 거쳐 시리아 라타키아로 향하는 도중에 같은 해 10월 적발됐다.
시리아 정부는 그동안 부산신항에서 적발된 방호복에 대해서는 자신들과 무관하다고 강력히 부인해 왔고 그리스에서 적발된 방호복은 농업과 연구용 목적이라고 주장해 왔다. 그리스에 이어 부산신항에서 적발된 방호품이 북한이 시리아에 보내는 화학무기 관련 물자였다는 사실이 확인됨에 따라 시리아와 북한 간 화학무기 협력 논란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