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상봉자 선정 어떻게… 출신성분·정치성향 가장 중시
입력 2013-08-25 18:25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자를 선정할 때 출신 성분 등 정치적 성향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25일 통일부와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에서 이산가족 상봉자 선정은 인민보안부와 국가안전보위부, 검찰 등을 관할하는 노동당 행정부가 총괄한다.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에 합의하면 먼저 중앙과 각 지역에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다. 중앙 TF에는 인민보안부와 국가안전보위부가, 각 지역 TF에는 이들 기관의 각 지방 조직과 함께 지역 인민위원회 행정 부서가 참여해 상봉 대상자의 신원 확인 등 실무작업을 하게 된다.
대상자 선정은 모든 주민의 출생과 사망, 친·인척 관계 등록·관리를 맡은 인민보안부(우리의 경찰청)와 방첩기관인 국가안전보위부가 한다. 먼저 인민보안부가 신원 확인을 통해 남측에 가족이 있는 주민들의 명단을 작성한다. 이어 국가안전보위부는 남측 가족을 상봉해도 괜찮은 인물인지 출신 성분을 가려낸 후 TF에서 이를 종합적으로 심의해 상봉 적격자를 최종 선발하게 된다. 실제 지난 2000년 제1차 이산가족 상봉 당시 북측이 우리 측에 통보한 200명 상봉자 전원이 월북자 출신이었다.
북한 이산가족은 2000년대 초까지는 상봉자로 선발되는 것을 꺼린 것으로 알려졌다. 남측에 친·인척이 있으면 정치적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산가족 상봉이 활발해지고 남측 가족을 만났던 상봉자들이 많은 선물과 달러 등을 받은 것이 알려지면서 경제적인 이유로 상봉에 나서려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모규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