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남북이산가족 언제 어디서든 만나도록 해야

입력 2013-08-23 22:23

남북이 23일 적십자 실무 접촉에서 추석 직후인 다음 달 25~30일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기로 합의했다. 남북관계 긴장으로 2010년 10월 이후 이산가족 상봉이 3년 가까이 단절됐던 점을 감안하면 만시지탄이라 할 반가운 소식이다.

특히 남북 당국이 회담 일시와 금강산관광 문제와의 연계 등에 이견을 보였고 협상에서도 상봉 규모나 장소 등을 놓고 논란을 빚었지만 합의에 도달한 것은 향후 남북관계에 좋은 신호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상봉 때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상봉 가족 선정과 명단 교환, 생사 확인 등의 실무 작업을 양측 모두 차질 없이 진행해야 할 것이다.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 방안인 상봉 정례화 등에 대해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은 아쉬움이 남는다. 이산가족들이 고령화돼 상봉 기회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인도주의 차원에서 조속히 이뤄져야 할 사안이다.

이산가족 상봉 같은 인도적 조치들은 남북의 정치상황과 관계없이 지속돼야 하는 게 상식이다.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 직후 대북 강경책인 5·24 조치가 취해진 상황에서도 우리 당국이 취약계층에 대한 순수 인도적 지원은 지속했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북측은 지난 14일 개성공단을 남북 정세와 무관하게 지속 운영토록 합의했던 것처럼 이산가족 상봉도 상시 가능하도록 후속 협상을 통해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또 국군포로나 납북자들의 생사 주소 확인 등 최소한의 인도적 조치에 대해서도 지혜를 모아야 한다.

개성공단 재개에 이어 이산 상봉까지 성사되면서 남북관계가 빠르게 회복될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음 달쯤 남북이 머리를 맞댈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에는 관광객 피살과 관련한 북측의 성의 있는 조치와 재발방지 약속 등이 전제조건으로 걸려 있다. 북한 핵·미사일과 관련한 국제 제재와의 상충 문제도 논란거리다. 이런 난제들을 풀어가는 데 최근 남북이 보여준 태도가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성과에 집착해 성급하게 문제를 풀어가기보다 상호신뢰가 형성될 수 있는 단단한 토대를 다지면서 차근차근 해결해 나가려는 자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