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취임 6개월 맞는 朴 대통령, 문제는 소통이다
입력 2013-08-23 17:32 수정 2013-08-23 22:23
박근혜정부 첫 6개월은 순탄하지 않았다. 인사 파문과 정부조직법 처리 지연 사태에 이어 대북관계 경색과 국가정보원 선거 개입 의혹, 서해 북방한계선(NLL) 대화록을 둘러싼 여야 대립 등 위기가 간단없이 이어졌다. 정권이 착근하기까지 기대와 기다림보다 안팎의 도전이 여느 정권보다 거셌던 시기였다.
그럼에도 여러 언론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취임 6개월 성적표는 나쁘지 않다. 외교·안보 등은 성공적, 경제 문제는 미완이라는 평가도 있지만 전반적인 국정 지지율이 대선 득표율 51.6%를 웃돈다. 하지만 절대평가 성격이 강한 국정 지지도 60% 안팎을 성공이라 부르기는 어렵다.
지지율의 발목을 잡은 것은 주로 소통의 문제였다. 임기 초 정권을 흔들었던 인사 파문의 본질은 국민들의 고개를 갸웃거리게 하는 인물이 발탁된 시스템 문제였다. 지금도 계속되는 야당의 장외투쟁도 소통 부재가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간발의 차이로 대선에서 패한 야당의 불복심리도 문제지만, 이를 큰 아량으로 품어가는 리더십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야당에 손을 내미는 것은 굴복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정치다.
여당과 내각은 물론 청와대 내부도 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통령이 주도해 온갖 사안을 정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바람직하지도 않다. 정권 내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각 분야의 자율성을 높이고, 원활한 피드백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소통의 백미는 국민과의 직접 대화다. 민감한 대북 현안이나 공약 이행과 재원 문제 등 논쟁적 현안에 대해서는 박 대통령이 직접 설명하고 국민의 소리를 듣는 기회를 늘려야 한다.
첫술에 배부르지 않는다는 속담처럼 취임 6개월 성적을 놓고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다. 박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강조했던 경제부흥, 국민행복, 문화융성의 국정 슬로건은 구체적인 방안을 다듬어 차근차근 실행에 옮기면 될 일이다. 하지만 임기 초 드러난 국정운영 방식의 문제는 지금 보완하지 않으면 두고두고 악재가 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