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인사동 일대 35년만에 개발제한 풀려… 대규모 철거대신 69개 소단위 맞춤형 정비
입력 2013-08-22 22:37
35년간 개발이 묶여있던 서울 인사동 일대 정비계획이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사업에 속도가 붙게 됐다.
서울시는 지난 21일 제13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인사동 161번지(승동교회 주변) 일대 3만3072㎡를 69개 소단위 맞춤형으로 정비하는 ‘공평 도시환경정비구역 변경지정안’(예시도)을 가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서울에서 도심재개발사업이 시작된 1973년 이후 철거 방식이 아닌 소단위 맞춤형 정비는 이번이 첫 사례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이 지역은 1978년부터 재개발구역으로 묶여 개별 건축행위가 제한돼왔지만 변경안을 통해 기존 6개 대규모 획지가 69개 소단위 획지로 바뀌었다”며 “즉 전면 철거가 없이도 작은 단위 필지에 대한 개발이 가능하게 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들 69개 획지에 대한 개별 건축행위 때 건폐율은 60%에서 최대 80%까지, 건물 높이는 기존 1∼2층에서 3∼4층까지 완화된다. 또한 ‘리모델링 활성화 구역지정’으로 기존 건축물을 철거하지 않고도 연면적의 30%까지 증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로는 기존 골목길을 최대한 유지해 차량 중심이 아닌 보행자 중심도로로 정비된다.
특히 시는 개별 지구가 된 이 지역의 사업시행절차도 도시환경정비사업이 아닌 건축허가를 적용, 기간을 약 1개월 이내로 최대한 단축키로 했다. 따라서 이르면 연내 착공에 들어가는 획지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는 인사동의 특수성을 감안해 골동품점, 표구점, 필방, 화랑 등 업종은 권장하면서도 화장품점, 커피전문점, 노래방 등은 허가하지 않기로 했다. 문화지구 내 부적합 업종을 제한하는 조례를 반영한 것이다.
아울러 시는 장기간 사업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시내 20개 구역, 57개 지구에 대해서도 소단위 맞춤형 정비로 전환하는 방식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한편 도시계획위원회는 영등포구 양평동2가 29의 6번지에 공동주택 258가구와 지식산업센터 등을 짓는 도시환경정비구역지정안과 중랑구 묵동 237의 45번지에 공동주택 386가구를 짓는 묵4구역 주택재건축기본계획변경안도 가결했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