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장외투쟁 강도 더욱 높인다

입력 2013-08-22 18:27 수정 2013-08-22 14:36


국가정보원 국정조사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고 9월 정기국회도 임박했지만 민주당은 기조변화 없이 ‘원내·외 병행투쟁’ 방침을 고수키로 했다. 특히 민주당이 앞으로 장외투쟁의 강도를 더욱 높여가기로 함에 따라 가을 정국 역시 대치가 지속되면서 여야가 격돌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 정국 대응 방침을 정하기 위해 22일 국회에서 긴급 소집한 의원총회에서는 강경 투쟁론이 다수를 이뤘다. 지도부부터 이런 입장이 확고했다. 김한길 대표는 모두발언에서 “국정원 대선 개입 청문회는 민주주의가 심각한 위기 상황임을 보여줬다”며 “이제 민주당의 갈 길은 정해졌다. 반드시 진실을 밝혀내고 흔들림 없이 나아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대표는 평소와 달리 “민주주의 회복에 정치적 운명을 걸겠다”, “민주주의를 회복하지 못하면 민주당의 존재 이유가 없다” 등의 강성 발언을 쏟아내며 강경 투쟁 방침을 밝혔다. 아울러 “원내·외 병행투쟁이 천막을 접는다거나 (투쟁역량을) 약화시켜선 안 된다”면서 “천막을 칠 때 장기전을 각오했었다”고 장외투쟁 지속 방침을 분명히 했다.

의총에선 16명이 발언했는데 다수가 더욱 결기 있게 투쟁하자는 주장을 펼쳤다고 이언주 원내대변인이 전했다. 특히 국정원 대선개입 진상규명, 남재준 국정원장 해임, 국정원 개혁,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4대 목표로 정하고 반드시 관철시켜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 원내대변인은 “의원들이 지도부에 더욱 강경한 투쟁방안을 추가로 마련할 것을 요구했고, 그 구체적 방식은 지도부에 일임키로 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결산 국회 및 정기국회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원내투쟁도 소홀히 하지 않기로 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 6개월 평가간담회’에서 “정기국회 관련 당의 기조는 원내·외 병행투쟁이며 정기국회를 보이콧하는 ‘전면 장외투쟁’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민주당은 의총에서 국정원의 안전보장 활동에 필요한 경비를 기획재정부에서 관리하는 예비비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한 ‘예산회계에 관한 특례법’ 폐지를 당론으로 의결했다.

한편 정의당 천호선 대표는 서울시청 광장에서 국정원 사건에 대한 박 대통령의 직접적인 해결을 촉구하는 무기한 농성에 돌입했고 앞서 통합진보당 이상규 의원도 당을 대표해 청와대 앞에서 21일부터 단식 농성 중이다. 이로써 야(野) 3당이 잇따라 국회를 버리고 ‘거리의 정치’에 나선 형국이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