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초·중·고생 4.4% 정신건강 ‘고위험’

입력 2013-08-22 18:25

부산지역 초·중·고교생 100명 중 4명이 전문기관 치료 등 정신건강을 위한 집중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부산시 정신보건사업지원단과 부산복지개발원이 공동 수행한 ‘부산시 정신보건 5개년 계획안’에 따르면 부산시교육청이 지난해 초·중·고교생 40만4441명을 대상으로 벌인 정서행동선별검사를 분석한 결과 전체 학생의 22.8%는 상담이 필요한 ‘관심군’으로 분류됐다. 특히 이 가운데 4.4%인 1만7932명은 2차 검사 결과 전문기관 치료 등이 필요한 ‘주의군(고위험군)’에 속했다.

정서행동선별검사는 우울·불안·폭력·비행 등 학생들이 겪는 정신건강 문제를 조기 진단하기 위해 2007년 도입된 제도다. 관심군은 2차 검사를 하고 주의군으로 분류될 경우 관련 전문기관이나 병의원으로 연계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지난해 주의군으로 분류된 1만7932명 중 34.5%인 6193명이 정신건강증진센터와 병원 등으로 연계됐다. 그러나 본인이나 부모의 동의가 없어 실제 전문가 치료로 진행된 것은 주의군 가운데 4.2%로 극히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정신건강과 관련한 인식변화와 함께 청소년 정신건강을 위한 다양한 보건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