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서청원 출마 결심… 與 당권경쟁 구도 ‘출렁’

입력 2013-08-23 05:08


친박연대 대표를 지낸 서청원(사진) 전 한나라당 대표가 10·30 재·보궐선거에 출마키로 결심했다. 친박(親朴·친박근혜)계 원로인 서 전 대표의 복귀가 임박하자 벌써부터 새누리당 당권 경쟁을 둘러싼 여러 시나리오가 나돌고 있다.

서 전 대표 측근 의원은 2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최근 재보선 출마 문제를 놓고 서 전 대표와 대화를 나눴다”며 “내가 먼저 출마를 제안하며, 출마 명분과 이번이 적기임을 설득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이 “당선을 통해 명예를 회복하시고 정치여정을 끝내시라”고 하자 서 전 대표는 “충정을 이해한다”고 답했다고 한다.

서 전 대표가 출마를 결심하게 된 배경엔 정치적 명예회복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측근은 “이명박정권 시절 정치적인 탄압 차원에서 뒤집어쓴 ‘비리 정치인’이라는 오명에서 복권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 전 대표는 18대 총선 때 공천헌금 수수혐의(공직선거법 위반)로 복역했다.

그의 출마 구상은 이달 초 강원도의 한 콘도에서 측근들이 모여 짰다. 일부 친박 의원들과 야권의 원로 정치인까지 모여 출마 여부와 지역구 선정, 구체적인 일정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복귀의 1차 관문은 지역구 선정 문제다. 일단 인천 서·강화을(새누리당 안덕수 의원)과 충남 서산·태안(새누리당 성완종 의원)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두 지역 모두 대법원 판결에서 의원직 상실형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서 전 대표 측이 고심하는 분위기다. 여권 관계자는 “서 전 대표가 자신의 출마선언이 자칫 후배 의원들의 대법원 판결에 영향을 줄까 조심스러워 하고 있다”고 했다. 이런 이유로 오는 26일로 준비했던 서 전 대표 전기(傳記) 출판기념회도 대법원 확정 판결이 예정된 9월 초 이후로 연기됐다.

서 전 대표의 등원 가능성이 커지자 가장 긴장하는 쪽은 김무성 의원이다. 당내에선 서 전 대표 출마가 김 의원의 당권 접수를 바라지 않는 청와대 및 친박 의원들의 ‘기획’으로 보는 시각이 존재한다. 실제로 일부 청와대 참모들은 당권을 향한 김 의원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지난 대선에서 선대위 총괄선대본부장으로 박근혜 대통령 당선에 기여했으나 박 대통령과의 관계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는 상태다. 청와대 내부에는 김 의원이 당권에 도전할 시점에 박 대통령을 비판하면서 각을 세울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기류가 있다. 그가 친이명박계와 비주류를 아우르는 지지기반을 갖고 있는 것도 부담이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