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산가족 상봉 장소 금강산으로 양보 가능성
입력 2013-08-22 18:11 수정 2013-08-22 18:13
판문점 우리 측 평화의 집에서 23일 열리는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에선 2010년 10월 이후 3년 만에 이뤄질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장소와 일시, 규모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또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대북지원 문제 등에 대해서도 의견이 교환될 전망이다.
상봉 장소의 경우 북한은 이미 금강산을 제시해 둔 상태다. 반면 우리는 아직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정부는 내부적으로 서울과 평양을 오가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금강산 관광이 5년째 중단된 상황이고, 이산가족들의 상봉 편의성 등을 감안한 것이다. 다만 북한이 우리 측이 요구한 판문점 실무접촉 개최를 받아들였고, 장소 문제로 상봉이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만큼 우리 측이 양보할 가능성이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22일 “이산가족 상봉 장소를 금강산으로 하는 것도 열려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상봉 시기는 추석(9월 19일) 이후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산가족 상봉이 합의되면 대한적십자사는 상봉 후보자 선정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인선위원회를 개최하고 고령자, 직계가족 우선 원칙 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 무작위 추첨으로 상봉 인원의 3∼5배수를 선정한다. 이후 상봉 의사 및 건강상태 등을 확인해 상봉자를 2배수로 압축하고 나서 북측과 생사확인 의뢰서를 교환한 뒤 생존자 중 최종 대상자를 뽑게 된다. 한적은 이 같은 실무 절차가 최소 한 달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규모는 지금까지 양측에서 100명씩 나온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우리 정부가 많은 인원의 상봉을 추진한다는 입장이어서 이보다 더 많은 인원이 가족을 만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무접촉에선 상봉 정례화와 생사 및 주소 확인, 서신 교환 등의 과제도 논의 대상이다. 상봉 정례화는 화상상봉 정례화로 합의를 볼 가능성이 크다.
이밖에 정부는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 등 인도적 사안도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우리는 ‘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실무접촉을 제안한다고 했다”며 “(국군포로·납북자 문제에 대한) 정부 입장은 명확하다. 최우선으로 다룰 것”이라고 했다. 이에 맞서 북한은 실무접촉을 계기로 식량과 비료, 수해복구 물자 등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개성공단 정상화는 순항하고 있다. 입주기업 관계자 등 253명은 오전 9시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 이후 처음 방북해 시설 점검을 마친 뒤 오후 귀환했다. 기업들은 26일부터 본격적인 기계 보수에 들어간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