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취임 6개월 여론조사] “중산층 기준, 年 소득 6231만원”
입력 2013-08-23 05:09
우리 국민들은 중산층 기준을 연 가구소득 6231만원 정도로 생각하고 있으며, 국가 재정상 문제가 생길 경우 복지 축소보다는 증세를 통한 복지재원 마련을 더 원하는 것으로 22일 나타났다.
국민일보와 글로벌리서치가 21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720명을 대상으로 박근혜 대통령 취임 6개월 평가 여론조사를 공동으로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38.8%가 ‘5501만∼7000만원’을 중산층의 연 가구소득 기준으로 봤다. 또 ‘7000만원 초과’라고 여기는 국민도 19.4%나 됐으며 37.5%는 ‘3451만∼5500만원’을 벌어야 중산층이라고 답했다.
‘국가 재정에 문제가 생길 경우 복지재원 마련을 위한 증세가 필요한지, 복지 규모 축소가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복지 규모 축소(40.3%)보다 증세(49.7%)의 응답률이 9.4% 포인트 높았다. 박 대통령이 대선 전부터 공약했고 최근에도 여러 차례 강조한 ‘증세 없는 복지’ 정책에 대해서는 ‘신뢰가 가지 않는다’와 ‘신뢰가 간다’는 대답이 각각 49.5%, 48.9%로 맞섰다.
박 대통령의 6개월간 국정수행 지지율은 59.8%로 조사됐다. ‘잘못했다’는 33.5%였다. 박 대통령이 가장 잘하고 있는 분야는 대북정책(30.3%), 외교정책(16.1%), 복지정책(15.2%) 순인 반면 가장 잘못하고 있는 분야는 서민생활 안정(28.5%), 정치 안정(19.9%) 등이 꼽혔다. 특히 경제성장 부분은 ‘잘못하고 있다’(12.2%)는 지적이 ‘잘하고 있다’(3.0%)에 네 배 이상 많았다.
국가정보원 개혁 문제와 관련해선 국회 국정조사가 끝나더라도 특별검사를 통해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의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는 의견이 59.8%로 국정조사 마무리 후 국회를 정상화해야 한다는 견해(35.5%)보다 24.3% 포인트 높았다. 그러나 민주당이 박 대통령의 사과와 남재준 국정원장 해임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선 ‘국정원 개혁과 상관없는 정치공세’(35.0%)와 ‘대선 결과에 승복하지 않는 것으로 비친다’(24.7%)는 부정적 응답이 ‘국정원 개혁을 위한 정당한 요구’(31.4%)에 비해 월등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6개 시·도의 성별·연령별 인구 비례에 따라 표본을 무작위 추출해 가구 유선전화 및 휴대전화 RDD(Random Digit Dialing)에 의한 조사원 면접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65% 포인트, 응답률은 10.3%였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