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취임 6개월 여론조사] 임대주택 활성화 최우선… 전세자금 대출 확대는 부정적 시각

입력 2013-08-22 17:38


전·월세 대책 평가

박근혜정부가 28일 발표할 예정인 전·월세 종합대책 가운데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및 민간임대주택 활성화가 가장 시급한 정책으로 꼽혔다. 금융권의 전세자금 대출 확대를 통한 전세대란 해소엔 부정적인 시각이 많았다.

22일 발표된 조사에서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및 민간임대주택 활성화가 39.7%의 지지를 받아 가장 우선적으로 시행돼야 할 정책으로 평가됐다. 이어 전세보증금 세제지원 등 세입자에 대한 소득공제 확대(22.2%)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야당이 주장하는 전·월세 상한제 도입에는 15.0%가 찬성해 여권이 내놓은 금융권의 전세자금 대출 확대 정책(11.4%)보다 높은 지지를 받았다.

직업과 연령, 교육 수준에 따라 선호하는 부동산 정책이 엇갈렸다. 만 19∼29세는 전세 보조금 세제지원(36.8%)을 필요한 정책으로 꼽은 반면 50대의 경우 43.9%가 공공임대주택 공급 및 민간임대주택 활성화 정책을 선호했다. 자영업자는 56.1%가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및 민간임대주택 활성화 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꼽아 다른 직업군의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농·임·어업 종사자와 학생층에서도 각각 41.1%, 46.9%로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정책 선호도가 높았지만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 계층은 33.6%와 34.3%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