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취임 6개월 여론조사] 朴대통령 ‘증세없는 복지’ 신뢰·불신 팽팽
입력 2013-08-22 17:34
복지·증세 논란
박근혜 대통령이 강조하는 ‘증세 없는 복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는 엇갈리고 있지만 복지확대를 위한 증세 필요성에는 비교적 공감하는 것으로 22일 조사됐다.
‘증세 없는 복지’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48.9%, 신뢰하지 않는다는 49.5%로 팽팽했다. 국정지지율이 높은 박 대통령 약속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증세 없는 복지가 어렵다는 의견들이 다소 우세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문제는 박 대통령의 정책 신뢰도와 연관돼 있다는 점에서 지지정당·거주지역·연령 등 응답자들의 정치적 성향도 답변에 영향을 끼쳤다. 한마디로 박 대통령을 지지하면 ‘증세 없는 복지’라는 말을 믿었고 지지하지 않으면 안 믿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로 박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답한 이들은 신뢰한다는 답변(62.8%)이 많았고 국정운영을 못한다고 평가한 측에서는 신뢰 안 한다는 응답(76.5%)이 우세했다. 또 새누리당 지지자(72.7%)와 대구·경북(71.5%)에서는 ‘증세 없는 복지’를 신뢰한 반면 민주당 지지자(70.1%)와 광주·전라(75.4%) 지역 주민들은 신뢰 안 한다고 답했다. 서울은 신뢰 안 한다는 응답이 신뢰한다는 응답보다 13.2% 포인트 높았다. 20∼40대와 화이트칼라·학생층에서는 ‘증세 없는 복지’를 믿지 않는 비율이 높았고, 50∼60대와 주부·자영업자들은 반대였다.
복지재원 마련을 위한 증세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는 필요하다는 응답(49.7%)이 증세보다는 복지규모 축소가 필요하다는 응답(40.3%)보다 우세했다. 양측 격차는 오차범위(±3.65%)를 벗어나고 있어 국민들 사이에 복지에 대한 욕구가 커진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앞선 질문에서 ‘증세 없는 복지’를 신뢰 안 한다고 답변한 계층 또는 야당 성향 응답자들 사이에서도 증세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견해가 많았다.
‘증세 없는 복지’를 신뢰 안 하는 사람의 55.4%와 민주당 지지자의 62.1%가 증세의 필요성을 인정해 오히려 ‘증세 없는 복지’를 신뢰하는 사람(45.4%) 및 새누리당 지지자(49.8%)보다 높았다.
최근 정부의 세제개편안 파동으로 유리지갑 논란의 중심에 섰던 화이트칼라 계층의 경우 증세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51.7%, 복지 규모를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43.3%였다. 복지 확대를 위해서는 세금을 더 낼 수밖에 없다는 현실적 판단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정주부 사이에서는 차라리 복지규모를 축소해야 한다는 응답(51.7%)이 높았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