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신흥국 비상] “인도 무너지면 후폭풍 상당 4000억달러 이상 비축해야”
입력 2013-08-21 18:41
전문가들은 국내 경제의 체력이 좋아진 만큼 아시아 신흥국 금융위기에 쉽게 휩쓸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외환위기를 다시 겪지 않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도 역설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조익연 책임연구원은 21일 “동남아와 우리나라는 모두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의 충격을 동시에 받고 있다”면서도 “동남아와 우리는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 자체가 달라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동남아는 거시경제의 취약성도 높고 경상수지 적자 등의 구조적 문제가 더해져 위기설이 나오는 것”이라며 “우리는 외환보유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있고, 낮은 단기외채 비중과 경상수지 흑자 등으로 인해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적자에 시달리는 경상수지와 고평가된 환율 때문에 투기 세력의 손쉬운 먹잇감이 됐다”며 “그러나 지금은 모든 면에서 그때와 달라진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인도나 인도네시아가 우리의 주요 수출국도 아닌 만큼 무역 측면에서의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며 “금융 측면에서도 동남아 국가에 투자하거나, 반대로 투자받은 금액도 적어 급격히 위험에 빠질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김윤환 전 아시아개발은행(ADB) 경제연구소 부소장은 신흥 강대국인 인도의 금융위기 가능성에 대해서는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인도 등의 상황이 과거의 금융위기 사례들을 답습하고 있다”며 “10대 경제대국인 인도가 금융위기에 빠져들 경우 인도와 교역·투자가 활발한 싱가포르·영국 등 동남아·유럽 국가가 직접적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의 대외거래 규모나 북한 리스크를 생각하면 현재의 3000억 달러 수준의 외환보유액으로는 부족하다”며 “앞으로 4000억 달러 이상 수준으로 외환을 쌓아야 한다”고 말했다.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장(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도 “미국과 유럽, 일본의 출구전략이 앞으로 4∼5년 걸린다고 보면 한국은 충분한 외화 유동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준구 박은애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