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00일 간담회] 최경환 “출구 함께 찾자”
입력 2013-08-21 18:31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가 취임 100일을 하루 앞둔 21일 정치권을 향해 “경색정국의 출구를 함께 찾자”고 강하게 호소했다. ‘과거의 감옥’에 갇혀 있다며 정부와 여야를 통틀어 비판한 데 이어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3자 회담 필요성도 재확인했다.
최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먼저 “여야 관계와 정부의 일하는 방식 등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그간의 소회를 밝혔다. 그는 “정치권이 과거의 감옥에 갇혀 있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며 “‘원칙주의적인 강경론’과 ‘부자와 서민의 이분법적 사고와 음모론’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주문했다. 민주당이 20일 넘게 장외투쟁을 이어가고 있어 결산국회와 정기국회의 정상적인 운영이 차질을 빚고 있는 데 대한 우려가 담긴 발언이다.
최 원내대표는 취임 이후 가장 아쉬운 점으로 ‘야당의 장외투쟁’을 꼽았고 경제민주화와 경제 활성화, 지하경제 양성화 관련 법안 처리를 치적으로 자평했다. 최 원내대표는 출구전략 질문이 나오자 ‘대통령과의 회담’을 곧바로 언급하며 “회담의 형식은 중요치 않다. 진작 이런 입장을 견지했고, 제가 끼고 안 끼고 뭐가 중요하냐”고 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제안했던 5자 회담만을 고집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그러나 민주당이 회담 조건으로 내건 항목에 대해선 조목조목 비판했다. 최 원내대표는 “대통령이 뭘 잘못했다고 자꾸 사과를 하라고 하냐”며 국정원의 정치·대선 개입 의혹에 대한 야당의 대통령 사과 요구를 일축했다. 특검에 대해서도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고, 국정원의 ‘자체 개혁’ 추진을 지지했다.
원내대표 경선에서 ‘강한 정책 여당’을 내걸었던 만큼 정책 분야 질문에 적극적으로 답변했다. 특히 최근 이슈가 된 전·월세 파동에 대해 “안정적인 월세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전세 수요를 매매 수요로 돌려서 수요를 줄여주는 패키지 정책이 나와야 한다”며 규제보다 시장의 자율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정부를 향해선 ‘중산층 70% 복원, 고용률 70% 달성’에 주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친박근혜계 핵심인 그에 대해 당 안팎에선 “‘청와대 리모컨’이 돼 강경 일변도로 갈 것으로 예상했지만 고비마다 할 말은 했다”는 평가가 많다. 최 원내대표 자신도 먼저 국정원 국정조사 수용 입장을 청와대에 통보한 사실을 주체적인 당·청 관계 사례로 들었다. 하지만 세제개편안 파동에서 보듯 정무적 판단을 하지 못하고 청와대 결정에 끌려 다녔다는 비판도 나온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