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후변화 대책은 국제협의체제 재가동 뿐
입력 2013-08-21 18:10
온실가스가 지금 추세대로 방출될 경우 2100년에는 해수면이 지금보다 최대 91.4㎝ 상승해 뉴욕과 상하이, 시드니 등 세계 주요 도시들이 물에 잠길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이 나왔다. 유엔 산하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가 다음달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 기후회의에서 발표할 제5차 평가 보고서초안에 담긴 내용이다. 이는 IPCC가 2007년에 발간된 4차 보고서의 해수면 상승 전망치보다 크게 높아진 것이다. IPCC 5차보고서 초안은 지구의 온도 상승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는 최근의 관측과 기후변화 전망이 과장된 것이라는 일부 과학자들의 주장을 반박하는 것으로 주목된다.
IPCC는 4차 평가보고서에서 2100년의 해수면 상승치를 18∼59㎝로 예측했었다. 19일 외신들에 따르면 IPCC는 5차 보고서 초안에서 해수면이 29∼82㎝ 상승할 것으로 결론 내렸다. 뉴욕타임스는 IPCC 과학 패널 중 일부는 더 비관적으로 해수면이 53∼91.4㎝ 상승할 것으로 보기도 한다고 전했다. 그럴 경우 해안에 살고 있는 수억 명의 인류가 위기를 맞게 될 것으로 예측했다.
한반도의 경우 해수면 상승 속도가 세계 평균보다 배 이상 빠르기 때문에 손놓고 있을 경우 닥쳐 올 재앙의 파장은 더 심각하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IPCC 4차보고서와 기상청 전망 등을 분석해 남한의 해수면이 2100년까지 1.36m 상승하면서 국토의 4.1%가 침수될 것이라고 올해 초 전망했다. 이 전망치는 IPCC 4차 보고서의 전 세계 해수면 상승 최대 전망치 59㎝보다 배 이상 높은 것이다. 해수면 상승에 따른 범람토지비용, 이주비용, 이주민 정착비용 등도 총 286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끔찍한 재앙을 피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적 적응대책의 수립을 서둘러 본격화해야 한다.
제5차 IPCC 보고서는 또한 기후 변화의 주범이 인간이라는 사실이 95% 이상 확실하다고 밝혔다. 2007년 보고서에서는 그 확률이 90% 이상, 2001년엔 66% 이상이었다.
대다수 과학자들의 이런 합의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를 멈추기 위한 전 세계적 차원의 대책 수립 노력은 지지부진하다. 미국은 교토의정서를 아예 탈퇴했고,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은 불참을 선언했다. 지난해 12월초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조약국 간 총회가 2020년까지 교토의정서의 효력을 연장키로 합의는 했지만, 제2기 교토의정서는 유럽연합(EU) 가맹국과 호주, 스위스만 참가해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 온실가스는 전 지구를 돌아다니는 기체이므로 어느 몇 나라의 협력만으로는 체계적으로 감축할 수 없다. 닥쳐 올 재앙의 원인에 대한 과학적 검증 결과가 뚜렷한 합의점을 찾아 가고 있으므로 이들 국가와 우리나라도 어떻게든 국제협력 체제를 재가동시키려는 노력에 동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