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복·서울色 담아 지속가능한 건축을”… 박원순 시장 ‘서울건축선언’ 발표
입력 2013-08-20 22:24
서울시가 시대 변화에도 지속가능한 건축 기본 원칙을 마련했다.
시는 그동안 개발 논리에 집착해 건축물을 짓던 방식에서 벗어나 시민 행복과 도시의 영속적 역사 환경 구축을 위한 ‘서울건축선언’을 20일 발표했다. 1개 전문, 10개 조문으로 구성된 선언에는 서울의 역사, 생태, 민주적 정체성과 세계 도시로서의 가치 등이 담겼다.
시는 특히 조문을 통해 서울의 모든 건축물이 개인 소유이면서 시민 전체가 공유하는 자산으로서 유기적으로 소통하고 접속하는 것이라며 공공성과 공동성을 강조했다. 또한 재난으로부터의 안전, 자원의 재활용과 에너지 절약, 개별 필지 변형 자제, 역사 유산 보존 및 계승 등을 통해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건축물을 짓겠다는 뜻을 밝혔다. 세계인들이 편리하게 살 수 있는 보편적 도시환경 및 창의력이 자유롭게 발휘되는 창조도시 건축을 위한 내용도 담았다.
시는 이를 위해 건축정책위원회 활동을 강화하고 공공 및 민간 건축심의 등에 선언 내용을 적극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4대문 안 필지 변형을 최소화하고, 주민들의 반응이 좋았던 잠실주공 5단지, 가락시영 재건축 청사진에 이어 개포주공 재건축 등에도 공공건축가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자치구 등 건축 관계자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추진, 개별건축물에도 구체적으로 실현되도록 할 예정이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의 모든 건축은 시민 전체가 공유하는 자산”이라며 “건축물 자체만으로도 도시와 시대정신이 담기고 관광상품이 되는 유럽 도시건물처럼 서울의 정체성이 담긴 건축물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녹색건축 인증을 받은 건축물이 2004년 1건에서 최근 3년(2010∼2012년)간 연평균 53건으로 급증했다고 밝혔다. 2010∼2012년 신축건축물(사용승인 연면적) 1045만2000㎡ 중 35%인 364만5000㎡가 녹색건축물 인증을 받았다. 녹색건축 인증을 취득하면 건축물에너지 효율인증 등급에 따라 취득세 5∼15% 경감, 재산세 3∼15% 경감, 환경개선부담금 20∼50% 감면 등 혜택이 있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