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이번엔 ‘특검’ 충돌 與, 8월 21일 청문회 불참예고
입력 2013-08-20 18:49 수정 2013-08-20 21:59
민주당이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배후로 지목한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의 청문회 증인채택을 밀어붙이는 동시에 특별검사의 수사까지 요구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21일 마지막 청문회에 불참할 뜻을 밝히고 국정조사 종료일인 23일 결과보고서를 채택하는 것으로 소모적인 국정원 정국을 끝내자고 맞섰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20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국정조사 결과 야당의 주장이 어느 것도 확정된 게 없다. 일방적 주장과 억측으로 질질 끌어서는 실익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이 극찬한 검찰 공소장을 바탕으로 재판 중인데 특검을 하자는 건 법 위에 군림하려는 것”이라며 “박근혜정부를 무력화시켜 대선 결과를 뒤집어보겠다는 속셈”이라고 꼬집었다. 민주당이 원내로 복귀하지 않으면 단독 국회를 불사하겠다는 뜻도 전했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도 “민주당이 특검 카드를 다시 꺼낸 건 끝까지 정쟁으로 몰아 대선불복의 명분을 찾겠다는 의도”라고 했다. 새누리당은 “증인이 없다”는 이유로 21일 미합의·미출석 증인 청문회 불출석을 통보, 야당만 참석하는 ‘반쪽 청문회’를 예고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국정조사 결과보고서 채택 가능성이 불투명하다고 보고 마무리 전략을 고심 중이다. 당내 일각에선 김무성·권영세 두 사람을 축으로 한 새누리당, 국정원, 경찰 등 3자의 대선개입 의혹을 밝혀야 하는 데다 장외투쟁 동력을 살리기 위해서라도 특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러나 지도부는 박 대통령의 향후 대응 여부에 따라 상황이 급변할 수 있고 대선불복으로 비춰지는 데 따른 역풍 등을 고려해야 할 때라며 신중한 태도다. 국정조사특위 민주당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MBC 라디오에 나와 “새누리당이 김무성·권영세를 감쌌기 때문에 특검으로 갈 수밖에 없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전날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한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현 송파서 수사과장)을 향해 “대한민국 경찰이냐, 광주 경찰이냐”고 한 새누리당 조명철 의원 발언에 대한 후폭풍이 거세다.
호남을 지지기반으로 한 민주당은 대국민 사과와 함께 전남 곡성 출신이면서 광주에서 고등학교를 나온 청와대 이정현 홍보수석의 입장까지 촉구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전주를 찾아 “진실의 증언을 지역감정으로 둔갑시킨 것은 야만적 폭력이자 구태, 망발”이라고 지적했다. 박용진 대변인은 “광주 출신이라는 이유로 증언의 신뢰를 의심받고 모욕당해야 하느냐”고 했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도 성명을 통해 “개탄스럽다. 지역감정을 부추긴 후진적 발언을 국민은 결코 납득하지 못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국정조사 실패의 분풀이를 즉각 중단하라”고 반박했다.
김아진 김동우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