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최경환 “3자 회담위해 빠질 용의”… 여야 대화물꼬 틀까

입력 2013-08-21 04:58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가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3자 회담을 포함한 경색정국 출구전략을 적극 모색 중이다. 이에 더해 여야 지도부가 결산국회 개회에 잠정 합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치권이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주목된다.

최 원내대표는 20일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3자든 (원내대표까지 포함한) 5자든, 만나는 것 자체에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생산성 있는 의제가 나올 수 있는지가 문제”라며 회담 형식에 고집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최근 참모들과의 대화에선 “3자 회담 성사를 위해 나 자신은 빠져 있을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최 원내대표로선 3자 회담 검토는 전향적인 입장 변화에 해당한다. 이달 초 야당의 대통령과의 단독 회담 제안에 대해 황 대표가 3자 회담을 역제안하고, 이를 박근혜 대통령이 다시 5자 회담으로 뒤집으면서 여권 내 불협화음 논란이 나왔었다. 하지만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국정조사가 마무리되는 시점과 맞물리면서 3자 회담이 정국을 풀 유력한 대화 방식으로 재차 부각되고 있다.

여권 입장에서는 박 대통령이 민생 현안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결산국회와 정기국회를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야당 협조가 절실하다. 새누리당 고위 당직자는 “여야가 물밑 접촉을 통해 국조가 종료되는 23일을 기점으로 결산국회를 가동한다는 잠정 합의를 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최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 비공개 부분에서 각 상임위별 결산국회 준비를 지시했다.

3자 회담 성사 여부는 새누리당 지도부가 청와대와 민주당 양자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의제를 도출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최 원내대표 측 관계자는 “서해 북방한계선(NLL) 논란과 관련해 야당 요구 조건인 대통령 사과, 국정원장 해임, 특검, 국회에 의한 국정원 개혁 중 얼마만큼 청와대와 야당이 서로 양보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회담 성사를 위한 지렛대는 국정원 개혁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최근 회의를 통해 국정원이 조직의 직무활동 범위를 ‘대공, 대정부 전복, 방첩, 대테러 및 국제범죄조직에 대한 국내 보안정보의 수집·작성·배포’로 규정한 국정원법 3조를 확대 해석한 것이 정치 개입 논란을 낳았고, 이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여야 합의로 국회 차원의 국정원 개혁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하는 1차 협상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 원내대표는 21일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3자 회담과 국정원 개혁 방안 등 정국 해법을 구체적으로 밝힐 예정이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