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자체 귀농·귀촌 유치에 안간힘
입력 2013-08-19 16:45
[쿠키 사회] 전북지역 지자체들이 귀농·귀촌인 유치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농촌인력 유출에 대응하고 지역에 활력을 되찾아 주기 위해서다.
19일 전북도에 따르면 올 들어 6월까지 1942가구 3909명의 도시민들이 전북의 농촌으로 들어왔다. 귀농·귀촌 가구는 2008년 385가구였으나 이듬해 883가구, 2011년 1247가구, 지난해 2553가구로 해마다 증가했다.
이런 추세에 맞춰 각 시·군은 베이비붐 세대들을 끌어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귀농·귀촌 1번지’로 자리 잡은 고창군은 연말까지 군 인구의 10%인 6000명의 귀농·귀촌인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다. 군은 관련 아카데미 운영에 이어 8억원을 들여 1955∼1963년생 교육장을 짓고 있다. 군은 2007년 도내 최초로 지원조례를 제정, 체계적인 정책을 추진해 왔다.
도 관계자는 “고창의 경우 지난해 1500여명에 이어 올해 상반기 949명이 전입해 해마다 작은 군의 면단위 인구가 늘어나는 성과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순창군은 관련 페스티벌을 열고 지난달 귀농(귀촌)지원센터를 건립했다. 이 곳에서는 연중 17차례 400여명의 예비 귀농인에 대한 교육이 실시될 예정이다. 완주군은 서울시와 상생협력 협약을 맺어 시민들을 대상으로 지역에서 현장교육을 실시하고, 남원시는 5가구 이상이 동시에 내려올 경우 상하수도 조성 등에 50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밖에 김제시는 귀농인들에게 20차례 품목별 영농교육을 실시 중이다.
도는 지난해 광역단체 최초로 귀농귀촌지원센터를 세워 상담과 홍보를 이끌면서 중심축 역할을 맡고 있다. 8개 시·군과 연계해 찾아가는 ‘수도권 귀농학교’를 운영 중이다.
전주=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