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폭탄’ 부메랑… 朴대통령 지지율 1주일새 5%P↓

입력 2013-08-19 01:58

꾸준히 상승하던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올해 후반기로 접어들면서 다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정보원 대선·정치 개입 의혹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 파문으로 7월 초부터 하향세를 탔던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가 세제개편안 파문을 계기로 대선 직후 수준까지 떨어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12일부터 3일간 성인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신뢰수준 95%·표본오차 ±3.1% 포인트)에서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54%로 나타났다. 같은 기관의 일주일 전 조사(5∼8일)와 비교해서 5% 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대통령이 직무를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내린 응답자(전체의 26%) 가운데 가장 많은 숫자인 18%가 ‘세제개편안·증세 문제’를 이유로 들었다. 7월 첫째 주부터 꾸준히 박 대통령에 대한 부정평가 이유 1순위였던 ‘국정원 문제’를 2위로 밀어낼 만큼 ‘증세 파문’의 여파가 심각하다는 의미다.

박 대통령이 야심 차게 후반기 국정운영 기조로 세웠던 ‘새로운 변화, 새로운 도전’도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박 대통령 구상대로 개혁 수준의 국정 드라이브를 걸기 위해선 국민의 전폭적인 지지와 동의가 필수적이다. 당장 대통령이 경제 활성화와 민생을 주요 화두로 제시했지만 세제개편안이 반발에 부딪히면서 첫 단추부터 어긋난 모양새가 됐다.

박 대통령 지지율 자체보다 더 큰 문제는 힘겹게 상승 궤도에 올랐던 지지도가 다시 하락하는 추세라는 점이다. 지난 1월 각종 여론조사에서 50%대 중반을 기록했던 지지도는 7월 초 한국갤럽 조사에서 64%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다시 7개월 전 수준으로 돌아간 셈이 됐다. 최소한 ‘지지율 성적표’에서는 국정운영이 헛바퀴만 돌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뜻이다.

박 대통령은 일단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에 전력을 다할 태세다. 이와 관련해 최근 각 부처 장관들로부터 개별 보고를 받고 직접 국정과제 진행 상황을 챙기는 빈도도 잦아졌다고 한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개혁 드라이브 의지를 알리고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해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정치·정책 이슈에 민감하고 여론 파급력이 큰 중산층이 정부에 등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들의 민심을 얻는 게 급선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는 18일 청년 일자리 창출을 고민하기 위한 타운홀미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19일부터 공무원들과 함께 각 지역 청년들을 직접 만나 애로사항을 듣고 정부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