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DMZ 평화공원, 생태·환경 우선 독일식 모델로…유엔산하 국제기구 유치

입력 2013-08-19 05:02
정부가 비무장지대(DMZ)에 조성될 세계평화공원에 유엔 산하 기구를 비롯한 국제기구를 유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18일 통일부와 환경부 등이 새누리당 서용교 의원에게 제출한 DMZ 평화공원 조성 추진 계획에 따르면 DMZ 평화공원은 생태와 환경을 살리는 자연친화적 공원으로 조성된다.

정부는 남북이 DMZ 평화공원에 대해 합의할 경우 공원에 평화교류 상징을 나타내는 조형물을 국제공모 방식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이어 유엔 산하 기구 등 국제기구를 유치할 방침이다.

정부가 검토 중인 국제기구는 유엔의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 등이다. 정부가 환경과 관련된 국제기구를 유치하려는 것은 DMZ 지역이 멸종위기종의 보고(寶庫)로 불릴 만큼 생태적 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DMZ 일원에는 67종의 멸종위기종을 포함, 총 2700여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또 DMZ에 정치·군사와 관계없는 국제기구를 설치해 대외적으로 평화 분위기를 조성하고 유엔의 협력을 이끌 수 있다는 점도 작용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DMZ 평화공원을 조성하는 데에는 유엔 및 미국, 중국 등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의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DMZ 평화공원 조성 방향과 관련해 생태계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우수한 생태자원을 활용하는 독일식 모델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생태역사 교육과 관광이 이뤄지고 다양한 트레킹 코스와 자전거 코스 등을 개발해 동북아 환경·생태 관광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DMZ 정책과 관련해 가장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는 곳은 독일 사례”라며 “동·서독 국경지역은 분단된 30년 동안 인간 이용이 제한되었기 때문에 우수한 생태계 지역으로 유지돼 환경·생태 교육·관광의 장으로 탈바꿈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DMZ 평화공원 추진 로드맵도 마련했다. 유엔 등 국제사회와의 협의 및 남북·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의 합의가 이뤄지면 현장조사 및 설계, 환경영향평가 등 준비작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어 지뢰 제거를 포함한 군사적 조치를 거친 뒤 부지조성 및 조형물, 시설 건립 순으로 진행된다.

통일부 관계자는 “DMZ 평화공원 기본 구상은 남북 및 국제사회가 공존하는 평화공원을 조성해 양측 주민뿐 아니라 많은 외국인이 방문하는 것”이라며 “평화공원은 남북 신뢰가 축적됨에 따라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