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캠코, 中투자 167억 대부분 날려…임직원은 “감정적 감사” 반감

입력 2013-08-19 04:59
박근혜정부의 핵심 공약인 국민행복기금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자산관리 개념 없이 방만한 운영을 이어온 것으로 드러났다. 캠코는 6년 전 중국 다롄(大連) 지방의 부실채권(NPL) 매입에 투자한 167억원을 지난달 대부분 날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외에도 무계획적인 예산 집행, 삐걱대는 내부통제 사례들이 내부 감사 결과 속출했다.

16일 국민일보가 단독 입수한 캠코의 ‘국내외 투자사업 관리실태 특정감사 결과 보고’ 등에 따르면 캠코 감사실은 부실채권 회수 차질, 예산낭비 사례 등을 지적하고 시정을 요구했다. 캠코는 부실채권을 되팔아 수익을 내는 공공기관이다.

캠코는 2007년 10월 홍콩에 유동화전문회사(SPC)를 설립하고 중국 동방자산관리공사 다롄분행이 보유한 부실채권 557억원어치를 농협 등 다른 금융회사들과 함께 매입했었다. 당시 후순위채로 167억원을 투자한 캠코는 2010년 12월까지 투자 원금을 모두 회수하려 했다. 하지만 채권 회수는 애초 계획보다 2년6개월 지연된 지난달 종결됐다. 160억원대 부실채권이 종잇조각으로 변한 이후였다. 회수기간이 지연되면서 인건비와 자문료 등 관리비용이 늘었고, 심지어 담보물이 사라진 사례가 잇따랐기 때문이었다. 캠코 감사실은 “원금이 90% 이상 손실됐다”며 “원인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고 밝혔다.

캠코 감사실은 “국제공공자산관리기구포럼(IPAF) 등 일회성 행사에는 수억원의 과도한 비용을 집행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편 캠코의 잇단 내부 감사에 대해 캠코 임직원들은 반감이 심한 상태다. 한 임원은 “감사가 장영철 사장에 대한 좋지않은 감정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비난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