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국정조사] 靑 “대치정국 풀긴 풀어야겠는데…” 與에 중재역 ‘눈짓’

입력 2013-08-18 18:02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면서 청와대가 꼬인 정국을 어떻게 풀어갈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제는 박근혜 대통령이 여야 대치를 해소해야 할 순서”라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9월 정기국회 이전에 장외투쟁 중인 민주당을 다시 국회로 불러들이지 않으면 박 대통령의 ‘정책 드라이브’도 동력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도 ‘대화 정치’의 필요성에는 상당 부분 공감하는 모양새다. 친박근혜계 핵심인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18일 기자간담회에서 “청와대에서 대화의 문은 항상 열려 있다는 말이 나온다”고 전했다. 그는 “야당에서도 형식과 의전에 얽매이지 않겠다고 했는데 종국에는 (청와대와 정치권의 대화) 결실이 있지 않겠나 생각한다”며 기대감을 표시했다.

그렇다고 청와대가 박 대통령의 5자 회담 제안을 먼저 철회하고, 민주당이 제의한 단독 회담을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박 대통령이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를 배제하고 김한길 대표만 만나는 것도 부담스럽다는 반응이다.

뭔가 돌파구가 마련돼야 하는데, 직접 나서기도 애매한 상황에서 여당이 대신 나서주기를 바라는 분위기가 청와대에서 감지된다. 이를 반영하듯 새누리당에선 민주당에 대한 ‘우호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청와대가) 민주당이 굴복할 때까지 기다린다면 그건 정치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여당이) 중재 역할, 물밑 접촉을 해야 하는데 야당이 너무 무리한 요구를 해서 청와대에 부담이 돼선 곤란하다”고 덧붙였다. 오는 21일 끝나는 국정원 국정조사 이후 야당이 특검과 박 대통령 사과 등에서 변화를 보인다면 적극적인 중재에 나서겠다는 의미다.

청와대의 해법은 정무수석실과 친박계 의원들을 통해 박 대통령이 형식을 떠나 야당과 진정성 있는 대화를 원한다는 메시지를 민주당에 전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세제 개편안을 둘러싼 ‘세금 폭탄’ 논란을 수습하느라 정치권과의 대화에 신경쓸 겨를이 없었다는 점을 설명하면서 “이제는 민생국회를 열어 국민의 고통을 덜어줘야 할 때”라는 화두를 던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를 통해 박 대통령과 김한길 대표의 단독 회담만 고집하는 민주당을 설득하는 데 주력할 것이란 전망이다. 결국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3자 회담이 경색 정국의 현실적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