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국정조사] 막판 난타전… ‘한방’ 나올까
입력 2013-08-18 18:02 수정 2013-08-18 22:24
여야는 19일 열리는 국가정보원 국정조사특위 2차 청문회에서 경찰의 댓글 수사 축소·은폐 및 국정원 전·현 직원 매관매직 의혹 등을 놓고 난타전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출석 대상 증인·참고인이 33명에 이르고 국정조사의 마지막 하이라이트가 될 가능성이 높아 혈투가 예상된다. 그러나 민주당이 ‘김·세(새누리당 김무성 의원·권영세 주중대사)’의 증인 채택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어 파행될 가능성도 있다.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창이 출석했던 지난 16일 1차 청문회가 ‘민주당 공격, 새누리당 방어’로 요약된다면 2차 청문회는 양측 모두 철저한 공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민주당 강기정 의원과 댓글 활동을 민주당에 제보한 국정원 전 직원 김상욱씨, 김 전 청장 등의 수사 개입 의혹을 폭로한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 등에게 칼날을 겨누고 있다. 강 의원은 민주당 의원과 당직자들을 대표해서 증인으로 출석하기 때문에 매관매직 및 국정원 여직원 김모씨의 인권침해 의혹을 놓고 새누리당 의원들과 날 선 공방을 펼칠 가능성이 있다.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1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야당의 ‘김·세’ 증인 채택 요구와 관련해 “두 분을 부를 필요가 없다는 게 당의 입장”이라며 “민주당도 최소한의 양심적 노력이 필요하다. 국정조사를 깔끔하게 마무리할 때”라고 밝혔다. 특히 김 의원은 이번 주 중국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 측은 “몇 달 전부터 잡힌 일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당 국조특위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16일 청문회에서 밝혀졌듯 권 대사는 지난해 12월 13일 원 전 원장과 통화를 했다”며 “사건의 핵심인 ‘김·세’는 반드시 청문회에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경찰과 국정원의 연결고리로 지목된 박원동 전 국정원 국익정보국장에게 화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박 전 국장은 경찰의 중간수사 결과 발표일인 지난해 12월 16일 김 전 청장과 통화한 사실이 있다. 이종명 전 국정원 3차장 등 국정원 직원들에게는 댓글 작성 및 조직적인 대선 개입 여부를, 최현락 전 서울경찰청 수사부장 등에게는 축소수사 혐의를 집중 추구할 예정이다.
여야는 국정원 직원들의 얼굴 공개 여부를 놓고 막판까지 줄다리기했다. 새누리당은 전현직 모두 비공개를, 민주당은 현직만 비공개를 각각 주장했다. 댓글 의혹 당사자인 여직원 김씨의 경우 청문회장에서 커튼을 치고 발언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박 전 국장에 대해서도 “사실상 퇴직한 상태”라며 공개를 강력 요구했다.
엄기영 김아진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