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관내 기업 연계 ‘대회수 늘리기’ 총력전

입력 2013-08-18 17:19


KPGA 활성화의 요체는 뭐니 뭐니 해도 대회 수를 늘리는 것이다. 코리안투어는 2008년 20개 대회가 열린 것을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2009년 16개 대회로 축소됐던 것이 2010년과 2011년에 다시 18개 대회가 열렸다가 지난해부터 14개 대회로 확 줄었다. KPGA는 지난해 회장이 사실상 공석인 상태로 1년 가까이 표류하느라 대회유치가 부진했고, 기존 대회의 스폰서마저 빠져나가면서 대회가 축소되는 등 위기를 자초했다.

올해도 14개 대회가 예정돼 있었지만 이달 초 하이원리조트 오픈을 개최할 예정이던 강원랜드측이 이렇다할 이유 없이 대회를 전격 취소해 비상이 걸렸다. 총상금 10억원을 걸고 이달 29일부터 열릴 예정이던 이 대회는 원아시아투어를 겸한 국제대회여서 대회 취소에 따른 충격이 상당히 컸다. 강원랜드측은 상대적으로 인기가 많은 여자골프대회 개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KPGA는 대회 신설에 투어존립의 사활을 걸고 협회 행정력을 집중하기로 했다.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지방자치단체와 관내 기업들이 공동으로 대회를 개최하는 방안이다. 세계적인 불황의 여파로 수십억원이 소요되는 타이틀스폰서를 맡으려는 국내 기업을 찾는 것이 현실적으로 힘들기 때문이다. 지난 5월 SK텔레콤오픈 때 방한한 최경주(43)도 이같은 방안에 적극 지지를 표명하면서 대회 신설을 위해서라면 자신도 발 벗고 나서겠다고 공언했다. 올들어 첫 대회를 개최한 군산CC오픈, 보성CC클래식, 해피니스 광주은행오픈 등은 모두 이 같은 노력의 결과였다.

KPGA는 골프전문채널 J골프와 함께 다음 달 시 승격이 예정돼 있는 경기도 여주군과도 협의, 대회 개최를 타진하고 있다. 여주군은 용인시와 더불어 골프장이 많이 몰려 있어 대회 개최도 용이한 편이다. 여주군 외에 다수의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가 협회의 이 같은 대회 신설 요망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내년도 지방선거가 변수로 꼽힌다. 자치단체장들은 대회 개최가 자신의 연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면밀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스폰서문제도 조금씩 해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56년 역사를 자랑하는 KPGA선수권대회가 숙제이던 스폰서 문제를 최근 해결했다. 충주의 신설 골프장인 동촌컨트리클럽이 5년간 후원을 약속하면서 대회장을 찾아 떠돌이 생활을 할 필요도 없게 됐다.

서완석 국장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