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하 KPGA 회장 “회장 선출 둘러싼 잡음 등 철저한 반성”
입력 2013-08-18 17:19
황성하(52·사진)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회장은 인터뷰 도중 몇 차례나 ‘정상화’라는 말을 되풀이했다. 협회 행정과 협회를 둘러싼 사회의 인식 모두가 ‘정상화’의 대상이었다. 박삼구 회장이 물러난 이후 지난 한 해 후임 회장을 선출을 둘러싸고 일어난 집안싸움은 회원들 서로에게 큰 상처를 남겼던 것.
선수출신인 황 회장은 “임기 4년 동안 KPGA를 보는 사회의 부정적 인식을 바로 잡고 모든 회원이 손잡고 협회 발전을 위해 동참할 수 있도록 단합과 화해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실은 녹녹치 않다. 전 집행부 임원들의 사문서 위조사건과 횡령미수 사건 등이 여전히 계류 중이고, 직원해고와 관련한 민사소송도 진행 중이다. 특히 지난해 김학서 전 회장직무대행 시절 매입한 협회 건물 문제는 임기 내내 그를 괴롭힐 것으로 보인다. 전 재산이나 다름없는 165억원이 건물 구입자금으로 들어간 데다 빈 사무실이 대부분인 건물 유지 관리비까지 추가로 투입되면서 투어 활성화를 위한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황 회장은 “게다가 협회의 주 수입원의 하나인 Q스쿨 참가비도 프로선수 지망생이 계속 줄어든 탓에 이마저도 감소하고 있다”면서 수입증대를 위한 획기적인 마케팅 방안이 시급함을 역설했다.
프로지망생의 Q스쿨 참가자는 2011년 2289명을 정점으로 올해는 1788명으로 감소, 2년 사이 무려 21.9%나 줄어든 것으로 협회는 집계하고 있다. 프로지망생이 줄어든 이유에 대해서도 “코리안투어가 쇠퇴일로를 걷고, 선수생활로 생계유지가 힘들어진 때문”이라고 진단한 황 회장은 “결국 파행을 걸었던 집행부 탓이 크다”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올들어 코리안투어의 시청률이 지난해보다 높게 나오는 등 낙관적인 수치가 나오고 있다고 말한 그는 “결국 국내투어를 활성화하는 것 외는 대안이 없다”고 단언했다.
황 회장은 협회가 내놓은 투어 활성화 방안은 그동안 스폰서 및 팬들에게 무성의했던 점은 없었는지 철저한 자기반성을 통해 마련된 것이라며 남자프로골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당부했다.
서완석 국장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