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략행태 되물림하는 야만행위 중단”… 서울 도심 곳곳 日 규탄 시위
입력 2013-08-15 17:44
제68주년 광복절인 15일 서울 중학동 일본 대사관 앞은 일본 정부를 비판하는 단체들의 성토장이 됐다.
독도 관련 시민단체들의 모임인 독도NGO포럼은 오전 11시 일본 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집단적 자위권 행사 부활 움직임을 규탄했다. 이들은 “일본은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해 미래세대에게 침략적 행태를 대물림하려는 야만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며 “독도 영유권을 훼손하려는 일본 정부의 어떤 시도에도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 정책인 집단적 자위권 행사 및 평화헌법 개정 발의는 시대에 역행하는 일”이라며 “아베 신조 총리는 즉각 반성사과문을 발표하고 총리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는 같은 장소에서 태평양전쟁 희생자들을 위한 합동 위령제를 실시했다. 유족회 회원 40여명은 아군과 적군 구분 없이 전쟁으로 희생된 젊은이들의 넋을 기렸다. 이들은 “전쟁범죄 국가인 일본은 종전 후 지금까지 전후처리나 보상에 대해 아무런 대책이 없다”며 “일본 정부는 지금이라도 올바른 과거 역사관을 갖고 한국을 비롯해 피해를 입었던 아시아 주변 국가들에 사죄해야 한다”고 밝혔다.
어버이연합 회원 100여명도 오후 3시 일본 대사관 앞에 모여 일본의 우경화를 규탄했다. 이들은 일본 우경화 정치인들의 사진이 담긴 포스터에 불을 붙여 태우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전국여성연대·통합진보당 여성위원회로 구성된 8·15 자주통일대회 추진위원회는 이날 오전 서울 수송동 서울지방국세청 앞에서 ‘일본 군국주의 재무장 규탄·식민범죄 해결 촉구대회’를 열고 위안부 등 전쟁범죄에 대한 일본의 사과와 평화헌법 개정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일제 때 징용된 우리 조상의 혼백이 아직 광복을 맞지 못하고 있지만 일본은 침략범죄를 사과하기는커녕 헌법을 개정해 군국주의 부활을 꾀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는 위안부 범죄 등을 철저히 규명하고 침략전쟁 미화를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집회에는 오전 9시부터 500여명이 참가해 인근 도로 1차로가 차단되기도 했다.
다양한 광복절 기념행사도 서울 곳곳에서 열렸다. 서울 보신각에서 열린 광복절 기념 타종행사에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전 야구선수 박찬호씨 등 12명이 참가해 종을 33번 쳤다. 태극기를 들고 행진하는 ‘8·15 태극기물결행진’도 열렸다. 광화문 열린광장에서는 인간태극기 퍼포먼스 등 태극기를 활용한 플래시몹 행사가 벌어졌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