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본격화] 설레는 이산가족… 朴, 한가위 상봉 직접 제안

입력 2013-08-15 17:33 수정 2013-08-15 22:04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북한에 직접 제안한 추석 전후 이산가족 상봉은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인도적 차원의 문제로 남북 모두 정치적 부담이 크지 않을 뿐 아니라 북한이 이미 지난달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을 제안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르면 16일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적십자 회담을 제안하는 통지문을 북측에 전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2차 개성공단 실무회담이 열린 지난달 10일 금강산 관광 재개 및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별도의 실무회담 개최를 전격 제의한 바 있다. 비록 양측의 입장차로 무산됐지만 당시 남북 모두 개성공단 회담에 집중한 후 이를 논의하자는 의견을 냈다.

그런데 14일 남북이 개성공단 정상화에 합의하면서 ‘빗장’이 풀렸다. 박 대통령이 제안한 ‘추석 전후’라는 시기도 남북은 공감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구체적인 조치들을 조속히 검토해 추진해 나가겠다”면서 “이산가족 80% 이상이 만70세 이상의 고령인 만큼 최대한 많은 분이 상봉을 하도록 해서 아픔을 덜어드려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도 지난달 이산가족 상봉 회담을 제의하면서 ‘추석을 앞두고’라는 말을 명시한 바 있다.

다만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고리로 금강산 관광 재개나 개성공단 조기 재가동 등 다른 문제를 추가로 들고 나올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산가족 상봉 회담에 응하면서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회담도 함께하자고 다시 역제안하거나 개성공단 재가동 시점을 앞당기는 데 활용하려 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북한은 그동안 개성공단 정상화와 금강산 관광 재개, 이산가족 상봉을 ‘패키지’ 형식으로 일괄 처리하려는 의지를 계속 보였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회담을 금강산 관광 재개 등 현안을 자기 측에 유리하게 만들기 위한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번 추석(9월 19일) 전후로 성사될 경우 이산가족 상봉은 2010년 11월 이후 2년10개월 만에 재개된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