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안부 기림일 제정 계기로 국제연대 강화를

입력 2013-08-15 18:03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행사가 ‘제1회 세계 일본군위안부 기림일’을 맞은 14일 한국 일본 미국 독일 등 세계 9개국 17개 도시에서 일제히 열렸다. 일본군위안부 기림일은 지난해 12월 열린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에서 고 김학순 할머니가 피해 사실을 처음으로 증언한 1991년 8월 14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 날이다.

국내에서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서울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집회를 열고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를 요구했다. 일본 시민단체들은 도쿄 등 5개 지역에서 행사를 열고 일본 정부의 사과, 역사날조 중단, 헌법개정 반대 구호를 외쳤다. 일본군 만행을 만천하에 공개한 날을 기념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 행사를 연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일본은 군경이 위안부 동원에 관여한 적이 없다거나, 전쟁 시에는 위안부 동원이 필요하다는 망발을 늘어놓고 있다. 더글러스 맥아더 연합군 최고사령관이 작성한 기밀문서 등과 피해자들의 증언을 통해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이 백일하에 드러났는데도 일본은 역사적 사실마저 부인하고 있다. 정·관계 인사들이 야스쿠니신사에 떼로 몰려가 참배를 하거나 집단적 자위권의 범위 확대와 군사대국화를 꾀하면서 동북아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

이런 일본의 움직임을 방관해서는 안 된다. 이번 행사를 계기로 세계 일본군위안부 기림일 행사가 각국 주요 도시로 확대되도록 민·관 차원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유엔을 비롯한 국제기구와 전 세계 양심적인 인사들과 연대해 일본의 침략상을 낱낱이 파헤치고 사죄와 보상까지 이끌어내야 한다.

시대착오적 망언을 쏟아내고 일본군위안부를 향해 인권침해 발언도 서슴지 않는 일본의 민낯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릴 필요가 있다. 과거 잘못을 깊이 반성하고 보상에 최선을 다하는 독일을 부각시킴으로써 그 대척점에 있는 일본을 비판하는 작업도 지속해야 한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피해 국가들과 침략전쟁에 반대하는 국가들의 거점 도시마다 위안부 소녀상을 세워 역사교육의 산실로 삼는 방법도 검토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