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취임후 첫 광복절 경축사… 日우경화 단호하게 경고할 듯
입력 2013-08-14 18:30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이끄는 일본 자민당 정권의 우경화가 갈수록 심해지는 가운데 취임 후 처음 8·15 광복절을 맞는 박근혜 대통령의 경축사에 정치권은 물론,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은 광복절이 일제 강점으로부터 해방을 맞은 기념일인 만큼 대일(對日) 메시지에 가장 많은 공을 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독도와 야스쿠니 신사참배, 과거사 왜곡 등 최근 일본의 우경화 추세에 대해 분명한 형태의 경고성 언급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평화헌법 개정까지 거론하는 아베 내각에 대해 박 대통령은 그동안 꾸준하게 강조해 왔던 ‘국제적 스탠더드’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서울 프로세스)’ 등을 다시 동원해 단호하게 비판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박 대통령은 전날인 13일 잠수함 ‘김좌진함’ 진수식 축사를 통해 “우리 국익과 해양주권을 훼손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광복절 이틀 전 나온 이 발언은 일본의 ‘독도 도발’에 대한 일종의 경고로, 8·15 경축사에서도 이런 기조의 강경 메시지가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이번 경축사가 박근혜정부의 대일 관계 향방을 가늠하는 척도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중앙언론사 논설실장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일본의 과거사 반성이 전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당분간 아베 총리와의 정상회담은 어렵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번에도 박 대통령은 한·일 관계의 바람직한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과거사·독도 문제에 대한 일본의 반성을 촉구할 것으로 추측된다.
박 대통령의 경축사에는 대북 관계에 대한 언급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원칙을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남북한 공존공영의 의지를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8월 정국의 핵심 이슈로 급부상한 세제 개편안 문제에 대해 국정 책임자로서 입장을 표명할지도 관심사다. 청와대 관계자는 14일 “오늘 개성공단 실무회담도 있는 만큼, 대통령이 여러 상황을 감안해 막판까지 직접 (경축사를) 가다듬을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