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인천아트센터 건립 어떻게 되나
입력 2013-08-14 16:58
[쿠키 사회] 인천아트센터 건립과정을 놓고 지역정치권이 정면충돌하는 양상을 보이는 등 정상화 과정에서 진통을 격고 있다.
인천아트센터 건립사업은 2006년 전임 안상수 인천시장 당시 지휘자인 정명훈의 형인 정명근 CMI 대표의 제안으로 시작된 대규모 프로젝트다. 인천아트사업은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지구 국제업무지구 내 약 5만㎡의 부지에 세계적인 공연장 건립을 목표로 추진됐다.
14일 인천아트센터㈜에 따르면 지원 1단지를 개발한 당초 인천아트센터㈜는 2008년 3월 한국산업은행과 사업 부지를 담보로 1100억원의 대출약정을 체결하고 토지매입계약을 완료했다. 그러나 금융이자만 늘어난 채 사업 진척이 안돼 2011년 3월 대출기간 만료로 파산에 직면하게 됐다.
이 과정에서 인천아트센터㈜는 2011년 1월 송영길 시장의 최측근 길학균씨를 대표로 영입했다.
이와 관련, 새누리당 인천시당은 지난 11일 성명을 통해 “아트센터 건립과 관련해 공연기획사 대표 정모씨가 사기 등 혐의로 기소돼 현재 재판 중에 있고, 현 아트센터 대표가 취임 이후 복잡한 사업 구조를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해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새누리당은 또 “정상화 명분으로 개발계획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시공사, 분양대행업체, PM(사업관리) 용역업체는 막대한 개발 이득을 챙겼다는 의혹이 있다”며 “개발이익금을 모두 인천시가 정한 문화재단에 환원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길 대표는 “우선 사업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기존 주주의 자발적 증자 포기와 공공지분 확대를 통해 사업이익을 인천시에 기부 채납했다”며 “개발 가능한 사업계획을 위해 주변 개발 계획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변경해 시공사 유치와 대출기간 연장을 이루어 내면서 사업을 정상궤도에 올려놨다”고 설명했다.
길 대표의 이같은 업무처리에 대해 검찰수사와 법적 분쟁도 이어졌다. 일부 소송 결과는 길 대표가 승소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CMI의 대표인 정명근씨가 전(前)인천아트센터㈜의 대표로 있을 당시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사인 더블유스퀘어프라퍼티즈와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용역비 85억원을 지급한 것이 쟁점으로 부상했다.
이 회사는 43억원의 용역비를 지급받아 투자 자본금(2억원)의 20배 이상을 회수한 상태였다는 것이 길 대표의 주장이다.
특히 지구단위계획 변경에 대한 것도 쟁점이 되고 있다.
길 대표는 “실현 가능한 개발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지구단위계획변경이 필요했다”며 “특혜논란을 불식시키기위해 지구단위계획변경으로 늘어난 이익은 필수 사업비를 제하고 모두 인천시로 기부 채납하도록 주주간의 협약을 체결했다”고 말했다.
‘예술인 마을 개발 콘셉트’가 배제된 것에 대해서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일부 시민들은 “예술인 마을 콘셉트가 사라지고 수익을 노린 시설로 둔갑된 것은 문제가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길 대표는 “인천도시공사의 사업계획에 대한 감사결과 816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실현 불가능한 계획으로 판명나 당시 사업계획에 대해서는 시공사들이 철저히 외면했다”며 “사업 실패 시 인천시는 문화단지의 운영비 마련 등 지원1단지 전체에 대해 인천시 혈세를 쏟아 넣어야 할 처지에 놓일 수도 있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인천아트센터 조성사업은 사업계획 수립 완료에 따라 시공사의 참여, 금융조건의 변경 등이 완성되면서 지난 4월 오피스텔 분양을 개시되는 등 극적으로 사업이 정상화되고 있다.
인천=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