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폭염취약계층 위한 효과적인 대책 마련해야
입력 2013-08-13 18:05
맹위를 떨치는 무더위에 온열(溫熱)질환 등 피해가 속출하면서 폭염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쪽방에 기거하는 빈곤층 노인, 연고 없는 홀몸노인,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노숙인 등에게 더위는 치명적인 만큼 임시변통에다 주먹구구 수준의 예방책으로는 불상사를 막는 데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13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6월부터 지난 11일까지 전국 436개 응급의료기관에서 보고한 열탈진, 열사병 등 온열질환자는 876명이고 이 가운데 8명이 숨졌다. 상당수가 독거노인이거나 연로한 농민들이라는 점에서 안타까움이 더 크다. 찌는 듯한 더위가 당분간 이어진다고 하니 아까운 목숨을 잃는 사태가 추가로 발생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없는 사람에게는 추위보다 더위가 그나마 낫다고 하지만 요즘 같은 폭염에 변변한 냉방시설은 고사하고 선풍기나 창문도 없는 쪽방에 거주하는 저소득 계층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말이다. 쪽방 노인이 오죽하면 “추위보다 더위가 더 무섭다”고 말할까. 특히 고혈압과 당뇨, 위장병 등 각종 질병에 시달리고 있는 노년층에게 폭염은 한순간에 생명을 앗아가는 위협적인 적이 될 수 있다.
취약계층이 사각지대에 방치돼 ‘살인 폭염’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폭염 피해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낮시간대에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지만 부득이 바깥 활동을 해야 하는 경우가 없지 않다. ‘폭염 구급대’ 등이 활동하고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피해를 막는 데 한계가 있다.
정부나 지자체 등은 비상 구급 체계를 점검하고 피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방문간호사나 노인돌보미가 독거노인, 거동 불편자들을 방문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등 특성에 맞는 긴급구조 활동, 건강관리 지원을 강화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뙤약볕에서 밭일을 하다 사망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만큼 농민들에 대한 세심한 주의도 필요하다. 폭염 대피처로 운영 중인 ‘무더위 쉼터’를 더 늘리고 쉼터가 전력난에 휘둘려 냉방시설을 제대로 가동하지 못하는 일도 방지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