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금융위기 3대 징후 보인다” 곳곳서 경계 목소리
입력 2013-08-13 03:59
중국 경제를 보는 세계의 눈길이 불안함으로 가득하다. 중국의 부채 증가 속도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미국보다 빠르고, 별다른 조치가 없으면 금융위기로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투자업계는 중국 경제에 대한 낙관론이 위험하다는 보고서를 쓰기 시작했다.
12일 골드만삭스의 ‘중국 신용 우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와 기업, 가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은 2007년 153%에서 지난해 209%로 5년 사이 56% 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미국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5년간(2002∼2007년) 기록한 부채비율 상승 폭인 46% 포인트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이 올해 219%, 내년 230%를 기록한 뒤 2015년에는 240%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금융위기가 가능하다고 경고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1960년 이후 세계 170국을 조사한 결과 부채 급팽창이 6년 이상 지속되고, 부채비율이 연 25% 이상 상승하며, 급팽창 당시 부채비율이 60% 이상인 경우에는 어김없이 금융위기가 발생했다. 중국의 경우 부채 급팽창이 5년째고, 부채비율의 연간 상승률은 15%, 급팽창 시작 당시 부채비율은 60% 이상이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모든 신호가 적색인 것은 아니지만 금융위기를 우려할 만하다”고 지적했다.
골드만삭스뿐 아니라 국내 시장에서도 중국 경제의 위기론은 심심찮게 제기된다. 중국 정부가 그림자금융(은행과 비슷한 자금중개 기능을 하지만 은행처럼 엄격한 건전성 규제를 받지 않는 금융회사) 문제를 잡기 위해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을 선택한 것은 기업 자금조달 축소 우려를 낳고 있다. 히이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3∼5월 중국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지난 5년간의 평균치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춘절 이후인 이 시기는 중국 PMI가 전통적으로 치솟았었다. 정부 구조조정에 따라 제조업설비투자와 고정자산투자가 올해 하반기 더욱 둔화될 것도 확실시된다.
수출 개선, 지역별 소규모 부양정책 등에 따라 산업·전력생산량 증가율이 3개월째 상승하고 있어 이제는 중국 경제를 회복세로 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실물경기의 회복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는 시각이 보다 지배적이다. 하나대투증권 한정숙 연구원은 “시장 예상치에 못 미친 중국 소매판매는 아직 내수경기 회복세를 판단하기 이르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하이투자증권 박석중 연구원은 “여러 지표들을 감안할 때 실질적 수요의 개선은 미비해 보인다”며 “중국 정부의 통제 강도가 높아지면서 기업·지방정부의 투자·생산 활동은 하반기로 갈수록 위축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