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테러 대비 바이오워치 시스템 구축
입력 2013-08-12 17:37
정부가 내년부터 생물테러를 조기에 감지하기 위한 ‘바이오워치 시스템(Bio-watch system)’을 구축한다. 또 향후 5년 안에 장티푸스와 말라리아 등 5개 감염병을 국내에서 퇴치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2013∼17)’을 수립했다고 12일 밝혔다. 조류인플루엔자A,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최근 대두되고 있는 신·변종 및 해외 유입 감염병과 생물테러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5년마다 작성하는 것으로 올해 처음 마련됐다.
바이오워치 시스템은 생물테러 병원체가 누출되거나 살포됐는지 대기 중 센서로 조기에 인지하는 체계를 말한다. 생물테러 또는 생물무기로 오용될 소지가 높은 병원체로는 탄저와 두창, 야토병(야생 토끼가 매개하는 감염병), 보툴리눔 독소 등이 있다. 이들 병원체는 적은 비용으로 만들어 한꺼번에 수많은 인명을 살상하는 무기로 악용될 수 있다. 복지부는 올해 감시 대상 병원체 등을 조사하고, 내년에 시범사업을 거쳐 2015년부터 본격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내년 8월에는 생물안전4등급(BL4) 실험실 등을 갖춘 생물안전특수복합시설도 완공해 운영에 들어간다. BL4 실험실은 무균시설과 음압장비를 갖춰 천연두와 에볼라처럼 공기 중으로 전파되고 감염력도 강한 병원체를 다룰 수 있는 곳이다. 전세계적으로 16개국 이상이 갖추고 있지만 국내에는 아직 없다. 아울러 생물테러와 생물학전에 대비해 두창 백신 비축량을 약 4000만 도스 확보해 전국민 대비 80%(현재 19%)까지 늘리기로 했다.
이와 함께 복지부는 2017년까지 장티푸스, 말라리아, 백일해, 세균성 이질, 파라티푸스를 퇴치 또는 퇴치 수준에 도달하도록 관리하기로 했다. 퇴치 수준은 인구 100만명 당 환자 수가 1명 이하로 유지되는 상태로, 현재 국내 퇴치 수준 감염병은 홍역·디프테리아 등 8종이 있다. 또 결핵 등 국내에 환자가 많은 감염병을 집중 관리해 인플루엔자를 제외한 감염병 발생 환자 수를 인구 10만명 당 현재 180명에서 5년 후 140명으로 낮출 계획이다.
민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