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국사 수능 필수 지정 신중 기해야

입력 2013-08-12 22:41

정부와 여당이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정하는 역사교육 강화 방안을 보류한 것은 아쉬움을 남긴다. 한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키로 한 것에서 한발 물러섰기 때문이다.

당초 정부는 역사교육이 강화돼야 한다는 측면에서 한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했었다. 이는 그동안 한국사가 홀대받아 수능에서 선택과목이 되다보니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이를 외면해 왔고, 그 결과 6·25전쟁이 언제 발생했는지 모르는 청소년이 절반이 넘고, 독립운동가 이름조차 모르는 것이 일상화됐다.

그렇지만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한다고 역사교육이 제대로 된다고 장담할 수 없는 터에 공연히 청소년들의 입시 부담만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특히 입시지옥에서 청소년을 해방시켜 준다는 명목으로 지금처럼 수능 과목을 대폭 줄여 놓은 터에 다시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여론도 감안됐을 듯싶다.

교육이 백년지대계란 사실을 당국자들이 모르지 않을진대, 군사작전처럼 밀어붙여 앞으로 생길 부작용을 감당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필수과목 지정이 교육 강화의 첩경이라면 과학과목은 진작 모두 필수가 됐어야 하지 않겠는가.

지금도 고교 수업시간에 국사 과목이 편성돼 있으며, 서울대학교를 가고자 하는 수험생은 반드시 국사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정부가 아무리 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해본들 일선 대학이 이 점수를 입시에서 소극적으로 반영하면 아무 쓸모도 없다는 사실을 정부도 감안했을 것이다.

위대한 민족은 역사를 결코 잊지 않는다는 명제에 100% 동의하지만 그것과 국사 과목을 대입의 수단으로 삼는 것은 별개다. 점수화되는 수능보다는 우리 청소년들이 대한민국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스러워하고, 속에서 우러나오는 조국애와 동포애를 고취시킬 수 있는 살아있는 교육 방안을 먼저 마련하는 것이 순서일 듯싶다. 오는 21일 발표될 방안에 기대가 모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