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 뒷談] 요일 따지는 국가정책조정회의
입력 2013-08-10 04:58
그동안 매주 금요일 열렸던 국가정책조정회의가 8월 넷째 주(22일)부터 목요일로 옮겨 열린다. 국무총리 주재로 현안 부처 장관들이 참가하는 국가정책조정회의는 국무회의 다음으로 중요한 정부의 공식 회의다. 주요한 정책에 대해 주무 부처 장관이 설명하고 다른 부처 장관과 총리가 토론에 가세해 국가의 정책을 결정하는 자리다.
총리실의 한 관계자는 “국가정책조정회의가 목요일로 바뀌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회의에서 결정된 중요한 국가 정책을 최대한 빨리 현장으로 전파하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금요일에 결정되고 발표되면 당장 주말 동안 추진이 유예되면서 정부가 신속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될 수 있다는 얘기다. 목요일에 결정하고 발표하면 당장 금요일부터 해당 정책 추진 작업이 이뤄지게 된다는 설명이다.
국가정책조정회의 일정이 바뀐 데에는 이 같은 표면적 이유 외에도 정책의 홍보 효과를 고려한 측면도 있다. 정홍원 총리는 몇 차례 “중요한 국가 현안이 결정되는데 언론은 (그 중요성만큼) 제대로 다루지 않는 것 같다”는 의견을 피력했다고 한다. 이에 총리실 간부들은 “토요일자 신문은 지면이 적은 데다 주로 가벼운 뉴스 위주로 편집돼 정책 현안이 잘 다뤄지지 않는다. 회의를 다른 요일로 옮기는 게 좋겠다”고 건의했고, 총리가 이를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정책의 신속한 집행과 폭넓은 홍보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정부가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내놓는 것이다. 국민들의 생활 속으로 파고드는 정책이라면 지면 압박에도 불구하고 다루지 않을 언론은 없다. 중요한 것은 무슨 요일이냐가 아니라 회의에서 나오는 콘텐츠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