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不通 정국] ‘핵심 증언을 이끌어 내라’ 원세훈 등 8명 입에 성적표 달려
입력 2013-08-08 18:29 수정 2013-08-08 18:31
국회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국정조사특위가 사실상 증인 채택을 마무리 지으면서 ‘영양가 있는 증언’을 이끌어 내기 위한 여야의 두뇌싸움이 치열해지고 있다.
증인 29명 가운데 핵심 증인 8명의 입에 국정조사 성적표가 달렸다는 분석이다.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 국정원 여직원 김모씨, 국정원 댓글 작업 의혹을 민주당에 제보한 국정원 전 직원 김상욱씨와 박원동 전 국익정보국장, 민주당 강기정 의원, 최현락 전 서울경찰청 수사부장,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이 핵심 증인으로 꼽힌다.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의 경우 14일 청문회에 출석할지부터 관건이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8일 “두 사람이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는다면 과연 그 이상의 국조가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며 국정조사 보이콧 가능성을 시사했다.
증인 27명이 무더기 출석하는 19일 청문회는 난타전이 예상된다. ‘댓글녀 또는 감금녀’로 불리는 국정원 여직원 김씨가 얼굴을 드러낼지, 무슨 말을 할지 초미의 관심사다. 그러나 김씨는 직무상 비밀 등을 이유로 야당의 질문공세에 묵묵무답으로 일관할 가능성이 높다.
새누리당은 ‘국정원 여직원 감금 및 매관매직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강 의원과 국정원 전 직원 김씨 등에게, 민주당은 ‘국정원 대선개입 및 경찰의 축소수사 의혹’과 관련해 박 전 국장, 최 전 부장, 권 전 과장에게 집중포화를 퍼부을 전망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 대사 등 미합의 증인들이 추가로 증언대에 설지도 관심사다. 민주당은 국정조사가 끝날 때까지 증인 출석을 요구할 것으로 보이나 자진 출석하지 않는 한 증인 채택 가능성은 낮다.
김 의원의 경우 최근까지 여야간 증인 채택 협상이 풀리지 않자 “권 대사는 놔둬라. 내가 출석해 마무리 짓겠다”며 출석 의사를 내비쳤지만 주변에서 “나쁜 선례를 남긴다”며 강력히 만류했다는 말이 흘러나온다. 이에 대해 김 의원 측 관계자는 “야당의 정치공세일 뿐 증인으로 나서야 할 이유가 없다”며 “(증인 출석)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