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다시 대화모드] 北, 음악·사진 시청금지 등 휴대전화 규제 대폭 강화

입력 2013-08-08 18:26

급증하는 휴대전화 소유가 미국에 의한 국가전복에 이용될 수 있다며 북한이 휴대전화 관련 규제를 강화화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마이니치신문이 8일 보도했다.

신문은 지난해 6월 북한 당국이 당 간부를 대상으로 만든 ‘최근 제기된 정치적 문제에 대해’라는 제목의 문건을 인용해 일부 휴대전화 이용자가 자본주의 사상과 문화를 확산시켜 국가와 혁명 수뇌부의 안전에 영향을 주는 심각한 해독행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은 2002년 11월 태국 기업과 합작으로 휴대전화를 운용하기 시작했으나 2004년 4월 용천역 열차폭발 사고에 휴대전화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용을 금지시켰다. 이후 2008년 이집트와 합작으로 고려링크가 업무를 재개해 올 4월에만도 가입자가 200만명에 달해 북한 주민 12명 중 한 명이 휴대전화를 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휴대전화 관련 규제를 강화하는 것은 정보 유통을 방치할 경우 김정은 체제에 위협이 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신문은 휴대전화를 통한 음악과 사진 등 불순물 시청 금지 대책과 비밀유출 방지 대책을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지시했다면서 주요 행사 시 휴대전화 소지 및 회의 내용 녹음, 전송 등도 금지됐다고 전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