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반전에 반전… 7차 회담, 3시간 만에 전격성사

입력 2013-08-07 22:12

정부의 남북경제협력보험금(경협보험금) 지급 결정부터 북측의 전격 회담 제안, 정부 회담 수용 결정은 모두 3시간 만에 전광석화처럼 이뤄졌다. 지난달 25일 개성공단 6차 실무회담 결렬 이후 지루하게 전개되던 남북 간 신경전이 불과 몇 시간 만에 반전된 것이다.

통일부는 7일 오후 3시 긴급 브리핑을 통해 공단 입주기업 109개 업체에 대해 보험금 2809억원을 지급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가동 중단으로 피해가 발생한 입주기업들에 손실보상 성격의 보험금을 주는 것으로, 보험금을 수령하는 기업들은 공단 내 투자자산 권리를 정부에 넘기는 것을 의미한다. 경협보험금 지급 결정은 사실상 공단 완전 폐쇄를 염두에 둔 사전조치로 해석됐다. 정부는 공단 내 기업 자산에 대한 대위권(채무를 처분할 수 있는 권리)을 행사할 수 있어 이론적으로는 공단 폐쇄에도 별다른 부담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황은 1시간 만에 바뀌었다. 북측이 오후 4시쯤 판문점 남북 연락관 채널을 통해 ‘14일 7차 실무회담 개최’를 제안한 것이다. 북측이 우리 정부 입장 발표를 본 직후 이런 결정을 했는지는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신속한 반응이 지극히 이례적인 것만은 분명하다.

조선중앙통신은 30분 뒤인 4시30분쯤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특별담화 형식을 통해 회담 개최와 공단 가동 중단조치 해제, 남측 기업들의 출입 허용 등을 발표했다.

통일부는 이후 긴급회의를 통해 북측 발표 내용 분석에 들어갔다. 오후 5시쯤 통일부 당국자는 “내부 검토를 거쳐 정부 입장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북측의 회담 제안을 공식 수용한 것 역시 빨랐다. 오후 6시쯤 김형석 대변인은 브리핑을 갖고 “북측의 입장을 평가하고 14일 개성공단에서 회담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5일 제주도로 휴가를 떠났던 류길재 통일부 장관도 오후 늦게 항공편으로 정부서울청사에 복귀했다. 정부는 8일 각 부처가 모여 공단 입주기업 지원 대책을 논의키로 했다가 내주 또는 이달 말로 회의를 연기키로 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도 환영 의사를 나타냈다. 개성공단정상화촉구비상대책위는 “북측이 제안한 실무회담을 적극 환영한다”며 “설비 유지·보수를 위해 즉시 방북해 정상 가동에 대비할 수 있도록 남북 당국이 조치를 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