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대강 사업 비자금 로비 의혹 낱낱이 밝혀야
입력 2013-08-07 17:30
4대강 입찰 담합 의혹을 파헤치기 위한 검찰 수사가 금품 로비 쪽으로 급선회하고 있다. 지난 5월 담합 의혹이 있는 대기업과 협력업체 등 30여곳을 압수수색한 지 3개월 만에 비자금 수사로 전환한 것이다. 검찰은 6일 4대강 설계·감리 용역을 수주하는 과정에서 수백억원대의 회사 자금을 빼돌려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로 도화엔지니어링 김영윤 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4대강 입찰 담합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비자금 조성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것은 김 회장이 처음이다.
검찰은 최근 도화엔지니어링 임직원들을 조사하면서 “회사 차원에서 공사 수주 등을 위해 사용하려고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고 한다. 검찰은 이 회사가 4대강 설계 수주 청탁 명목으로 한 대형 건설사 측에 4억원을 전달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검찰 관계자는 “비자금 사용처에 대한 수사를 이제 막 시작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4대강 사업의 최대 수혜 업체로 도화엔지니어링을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이 회사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4대강 사업을 포함한 관급공사를 휩쓸며 국내 토목 엔지니어링 분야 1위 업체로 등극했다. 김 회장이 취임한 2005년 1530억원이던 매출액이 해마다 급증하기 시작해 2010년에는 3220억원으로 뛰었다. 5년 사이에 매출액이 100%가량 늘어난 것이다.
건설업계만큼 리베이트가 횡행하는 분야도 없다. 공사를 수주하기 위해 돈을 주고, 공사를 수주한 후에는 감사의 표시로 뇌물을 주는 것이 관행처럼 굳어져 있다. 이런 관행에 따라 김 회장이 비자금을 로비자금으로 썼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검찰은 보고 있다. 국민 혈세 22조원이 투입된 4대강 사업은 공사 규모가 워낙 컸기 때문에 업체들이 물불을 가리지 않고 수주전에 나섰다. 그만큼 비리가 발생할 개연성이 크다. 검찰은 도화엔지니어링의 비자금 사용처를 낱낱이 파헤쳐야 한다. 또 4대강 공사를 발주한 수자원공사, 지방 국토청과 건설사들 사이에 검은돈이 오갔는지도 수사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