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靑 2기 출범이후] 對검찰·인사검증… ‘호흡’ 중요한 민정실 대폭 물갈이說

입력 2013-08-06 17:46 수정 2013-08-06 22:31


박근혜 대통령의 전격 인사로 청와대가 ‘집권 2기 체제’에 접어들면서 후속 개편 방향에 정치권의 촉각이 집중되고 있다. 대표적인 검찰 ‘공안통’으로 매사에 원칙을 강조해온 김기춘 비서실장의 ‘코드’에 맞게 나머지 청와대 참모진도 새롭게 진용이 짜여질 전망이다.

특히 청와대 수석 이상 장·차관급 구성이 끝난 만큼 1급 비서관 후속 인사가 큰 폭으로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미 상당수 비서관들은 잔뜩 긴장한 모습이다.

비서관 교체가 가장 먼저 거론되는 조직은 민정수석실이다. 곽상도 전 수석이 옷을 벗은 만큼 ‘곽 수석의 사람들’로 여겨지는 부하 비서관들도 바뀔 것이라는 말이 흘러나온다. 이중희 민정비서관은 인천지검 부장검사에서 청와대로 자리를 옮기는 과정에서 잡음이 일었던 적이 있다. 비서관 직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선 내용이 외부로 새어나가 한때 청와대행(行)이 보류됐다는 설이 나왔었다. 조응천 공직기강비서관은 인사 검증 문제를 놓고 곽 전 수석과 갈등설에 휩싸이기도 했다.

민정수석실은 대통령의 친·인척 관리, 검찰과의 현안 조율, 인사 대상자 평판 검증, 공직사회 기강 감찰 등을 도맡아 청와대에서도 가장 민감하고 어려운 업무를 한다. 그만큼 민정수석과 산하 비서관들 사이의 ‘호흡’이 중요한 곳이다. 따라서 홍경식 신임 민정수석이 자신의 업무 스타일에 맞는 인물로 새 진용을 짤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윤창번 미래전략수석과 최원영 고용복지수석도 함께 일할 새 인물을 찾을 수도 있다.

수장이 바뀌지 않은 다른 수석실에서도 “비서관급 이상 리셔플(reshuffle·뒤섞기)이 있을 것”이라거나, “일부 비서관이 바뀐다”는 식의 소문들이 설왕설래하고 있다. 각 수석실 비서관들은 6일 취재진의 전화를 거의 받지 않았다.

인적 쇄신과 함께 청와대 조직 변경 가능성도 제기된다. 출범 초기 ‘작은 청와대’를 지향하면서 대폭 축소된 인력 규모를 다시 늘리거나 일부 조직의 급을 격상하는 방안 등이 그것이다. 몇 차례의 인사 실패 과정에서 여야로부터 비판을 받았던 인사비서관 부활 여부도 초미의 관심사다. 선임 행정관 1명이 책임지는 현 시스템으로는 부실 검증을 비롯한 인사문제가 언제든지 불거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청와대 내부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새 정부 출범 초기 20여명에 불과했던 민정수석실 행정관급 이하 직원들도 100명 내외로 크게 늘어난 상태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