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참모진 대폭 교체] 몇몇 수석 업무 능력 의문 부호… ‘정국 방치했다’ 시각도
입력 2013-08-05 17:50 수정 2013-08-05 22:05
박근혜 대통령이 5일 단행한 청와대 인사는 시기뿐만 아니라 폭과 범위에서도 ‘전격(電擊)’이었다. 지난주 짧은 경남 저도행(行) 이후 나머지 휴가를 청와대에서 보냈던 박 대통령은 철통 보안 속에 소리 소문 없이 경질 인사를 준비한 셈이다.
그동안 청와대 안팎에서는 몇몇 수석들에 대한 교체 소문이 무성했었다. 새 정부가 출범한 지 비록 5개월여밖에 되지 않았지만, 업무 추진 능력과 성과에서 의문표가 찍힌 참모들이 꽤 많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곽상도 민정수석은 몇 주째 증권가 ‘찌라시’ 등에서 “경질이 기정사실화됐다”는 내용이 오르내렸다. “검사장 승진을 하지 못한 채 검사직을 내려놓은 이력 때문에 검찰 최고위급 인사들이 그를 너무 만만하게 본다”는 루머가 돌고, “검찰 개혁을 주문하는 박 대통령 의중과 다르게 곽 수석이 해놓은 개혁 성과가 전무하다”는 말도 있었다. 하도 교체설이 도니 청와대에선 “원래 그 자리가 검찰 대기업 정치권 경찰이 다 흔드는 자리 아니냐. 교체설은 다 설일 뿐”이라는 해명이 나오기도 했다. 또 검찰의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 수사 과정에서 조율이 매끄럽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 그가 “원 전 원장의 정치개입 혐의는 공소유지가 어렵다”는 소신을 지녔음에도, 검찰이 원 전 원장을 선거법위반 혐의로 기소하도록 방치(?)했고 결국 국정원 국정조사와 민주당 장외투쟁의 발단이 됐다는 것이다.
최성재 고용복지수석은 지난달 15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산업안전보건 및 돌봄시설 점검 결과를 보고했다가, 박 대통령으로부터 “그동안 개선방안을 추진했을 텐데도 위반사항과 지적사항이 줄지 않아 참 답답하다”는 질책을 받았다. 박 대통령이 “일자리 창출이 새 정부 최고의 정책”이라는 메시지를 입버릇처럼 던져왔음에도 그동안 새로운 일자리 방안 실적이 거의 없었다는 것도 경질 사유로 여겨진다.
최순홍 미래전략수석은 ‘창조경제’ 구체화 작업을 제대로 해내지 못했다는 곱지 않은 시각이 있어왔다. “창조경제 개념 자체가 추상적”이라는 지적이 야당뿐 아니라 여당에서조차 나오는데도, 그는 단 한번도 창조경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을 내놓지 못했다.
허태열 비서실장은 새 정부 초반 거듭된 인사파동과 불협화음, 그리고 서해 북방한계선(NLL) 정국에서의 대처 잘못 등으로 옷을 벗게 된 것으로 관측된다. 허 실장은 지난 3월 인사파동이 불거졌을 때 ‘대독(代讀) 사과’ 논란을 야기했다. 인사검증 실패와 공기업 인사 중단 등도 교체 배경으로 꼽힌다. 결단성 있게 일을 처리하지 못해 무능하다는 지적이 제기되는가 하면, 반드시 전해야 할 민심을 제대로 대통령에게 보고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있었다.
민주당 홍익표 전 원내대변인의 ‘귀태(鬼胎) 발언’ 파문 등에 대해서도 온건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서 박 대통령과 ‘주파수’가 맞지 않다는 말이 정치권에서 흘러나왔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