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집 공급 늘리고 세입자엔 금융지원 확대… 전세대란 ‘양다리 대책’ 효과 의문

입력 2013-08-04 17:58


올가을 ‘전세대란’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가 전셋집 공급을 늘리고 세입자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공급과 수요를 동시에 늘리는 방식이어서 전셋값 급등을 막는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부, “하반기 전셋집 공급 늘린다”=국토교통부 관계자는 4일 “매입 전세·임대주택을 하반기에 집중적으로 공급하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매입 전세·임대주택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임대사업자가 사들여 세를 놓는 집을 말한다. 저소득층이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주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부는 지난달 24일 내놓은 4·1 부동산종합대책 세부실행방안에서 매입 전세·임대주택 3만6000곳을 하반기에 공급한다고 밝힌 바 있다. 매입 대상주택 확대를 위해 매입 지원금도 현재 8500만원에서 9000만원으로 상향 조정할 계획도 내놨다.

전셋집 공급을 늘리는 것은 목마른 전세 시장에 반가운 일이지만 전세 수요를 확대하는 정책과 동시에 추진된다는 게 문제다. 예컨대 금융위원회는 전세자금 대출에 대한 보증 한도를 2배로 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수년째 1억5000만원에 묶여 있는 보증 한도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전세수요를 늘리는 조치가 될 수 있다. 김경환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결국 전세 공급이 늘어나는 것도, 전세 수요가 줄어드는 것도 아닌데 가격이 어떻게 안정되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전셋값이 올랐으므로 융자를 해주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전세자금 대출에 관한 것은 단기적 조치이고, 장기적으로는 전세수요를 매매수요로 돌리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7월 거래절벽 현상 나타나=전세수요를 매매수요로 전환시키는 게 근본적 해법이라는 데는 부동산 전문가와 업계 모두 동의하고 있다. 문제는 정부의 현 부동산 대책이 그런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데 있다.

지난 4·1 부동산종합대책 이후 한두 달 반짝했던 부동산 시장은 최근 다시 거래가 사라지는 모습이다. 특히 지난달에는 취득세 감면 혜택 종료로 부동산 매매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크게 줄었다.

국토부가 잠정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7월 주택거래량은 모두 3만2355건으로 지난해 7월의 5만1216건에 비해 36.8% 감소했다. 지난 6월 12만9907건의 4분의 1 수준이다. 취득세 영구 인하가 추진되면서 소급적용 여부가 명확해질 때까지 관망하는 모습이 두드러지는 셈이다.

이에 따라 부동산 관련 추가 대책이 곧 마련될 전망이다. 정부와 새누리당 사이 주택거래 활성화 입법과 관련한 당정협의가 조만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회에서 여야가 이른바 ‘빅딜’을 추진할 가능성도 있다. 새누리당이 추진하는 다주택자 양도세 부과 및 분양가 상한제 폐지와 민주당의 전·월세 상한제, 뉴타운 세제 혜택 등을 주고받는 것이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