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평대위 상임위원장 이태영 장로 “개신교단 파송이사 배제는 ‘건학이념’ 훼손”

입력 2013-08-04 17:14

지난달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 ‘연세대학교 설립정신을 회복하기 위한 평신도 대책위원회’(평대위) 상임위원장인 이태영(68, 한국후지노테크 회장) 장로는 개신교단에서 파송된 이사를 배제하는 연세대 정관이 재개정돼 기독 정신이 건학 이념에 녹아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2일 밝혔다.

이 위원장은 연세대가 한국 복음화의 상징적 존재라고 강조했다. 조선 말기 한국에 온 선교사들이 가장 집중한 분야가 교육과 의료 사역이었는데, 이 두 가지가 완벽히 조화를 이룬 결실이 연세대라는 것이다. 그는 “연세대는 이 땅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 섭리와 선교사들의 헌신이 맺은 거룩한 열매”라며 “한국의 기독교인들은 연세대를 자랑으로 여겨왔기 때문에 기독교 인사를 배제하는 정관 개정 소식에 평신도들은 경악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한국교회평신도단체협의회와 한국장로회총연합회, 한국교회평신도지도자협회, 기독교대한감리회장로회전국연합회 등 4개 평신도 단체들로 구성된 연세대 평대위는 소속 교단만 34개, 회원 수는 약 500만명이다. 평대위는 올여름 각 교단 연합수련회를 찾아 연세대 사태에 대해 설명하고, 서명운동을 벌인다. 가을에는 각 교단의 총회에서 목회자, 장로들의 힘을 모으고 지역교회 및 미션스쿨 등을 순회하며 기도회도 열 계획이다.

이 위원장은 “재개정이 안 되는 상황은 생각해 본 적도 없다”며 “연세대가 제자리로 돌아올 때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단순히 권한만 찾아오겠다는 것은 아니다. 이 위원장은 “그동안 이사로서 본분을 망각한 경우가 적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가 먼저 회개해야 한다”며 “또 각 교단들에도 장학기금 마련 등 현실적으로 연세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촉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야 연세대 재단이사회가 더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고, 기독교가 한국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끼칠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번 평대위 활동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된다면 평신도 단체 간 연합과 일치 운동에도 모범적 선례가 될 수 있다. 한국교회평신도단체협의회 대표회장을 지낸 이 위원장은 “평신도 단체의 궁극적인 사명은 선교인데, 이를 위해 단체 간 연합과 일치가 중요하다”며 “이번 위원회 활동을 통해 평신도 단체 간 연대를 보다 공고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는 “평대위는 연세대 정관이 재개정되면 활동을 마무리하며 어떤 권리도 내세우지 않을 것”이라며 “평신도 이사 파송 등은 처음부터 생각하지 않았고,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중심의 연세대 이사회 모니터링 활동에도 참여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