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 나간 민주, 벌써부터 복귀 저울질
입력 2013-08-02 17:55
장외로 나간 민주당이 벌써부터 언제, 어떻게 원내로 복귀할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겉으론 새누리당이 국가정보원 국정조사 정상화에 협력하면 투쟁을 끝내겠다고 말하지만, ‘명분 있는’ 출구전략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여당이 쉽게 물러서지 않을 태세고 현재 국민적 여론도 미지근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2일 서울광장에서 가진 현장 의원총회에서 “민주당이 얼마나 바깥에서 투쟁을 할지는 순전히 새누리당에 달렸다. 그들이 우리를 광장으로 내몰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증인채택을 둘러싼 국정조사 특위의 이견 조율이 순조롭게 되면 언제든 복귀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하지만 당내 강경파 입장은 다르다. 어렵게 밖으로 나간 만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진위 여부를 가릴 부속자료 열람, 대화록 실종에 따른 검찰수사 중단 등 다른 요구까지 관철시키자는 주장이다. 반면 온건파는 대선불복으로 비춰지면 부담이 커지는데다 현재로선 대여공세를 높일 만한 명분도 부족하다는 쪽이다. 박지원 의원도 “민주당이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려 장외로 나섰다는 의견을 부인하진 않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장외투쟁이 장기화돼선 안 된다는 데에는 강·온파 간 차이가 없다. 8월 결산심사, 9월 국정감사 등을 앞두고 복귀가 늦어지면 부실 국회 책임까지 떠안을 수 있다. 한 당직자는 “길어도 3주 안에 들어올 수밖에 없다”며 “여당과 국회 일정 등을 논의해야 하는데 천막당사가 오래가면 국정 발목을 잡는 듯한 인상을 준다”고 분석했다. 유력 복귀 시나리오는 오는 18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 4주기 행사를 치른 뒤 9월 정기국회 일정 협의를 위해 자연스럽게 원내로 들어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15일로 마무리되는 국정조사 정상화를 위해 야당이 투쟁했다는 명분이 만들어진다는 계산이다.
명지대 신율 교수는 “여당이 민주당을 달래 국회로 돌아오게 할 어떤 구실이나 명분을 만들어주진 않을 것”이라며 “그럼 어느 순간 ‘저 정당은 왜 밖에 나갔느냐’는 국민 비난이 커지지 않겠느냐. 그래서 나가는 건 쉬워도 들어오는 건 더 어려운 법”이라고 지적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