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장외투쟁 이틀째] 여야 ‘3+3회동’ 가능성… 주말 분수령
입력 2013-08-02 17:44 수정 2013-08-02 21:27
새누리당은 2일 장외투쟁 중인 민주당을 향해 “촛불 정치에서 회군하라”며 국회 복귀를 촉구했다. 국가정보원 국정조사 증인채택 등을 놓고 물밑접촉 중인 여야 지도부가 주말 사이 회동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의 전날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한 뒤 “당장 장외투쟁을 중단해야 한다는 여론이 73%”라며 “하루빨리 장외투쟁을 중단하고 국정조사에 성실히 임하라”고 말했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회군하는 데에는 어떤 명분도 필요 없다”고 압박했다.
여야 물밑 접촉은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 원내대표는 “타협점을 찾기 위해 여러 방식, 채널을 통해 접촉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난항”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서울광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어제 직접 만나지는 못했지만 전화로 내내 통화했다”고 전했다.
최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광장에 찾아가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를 만나는 방안을 타진하기도 했으나 성사되지 못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새누리당에서 실무채널을 통해 ‘방문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했다”며 “전 원내대표도 현장에 없고 해서 무산됐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3일까지는 협상을 중단한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주말에는 회동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여야 원내대표와 원내수석부대표,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 간사가 참여하는 ‘3+3 회동’이 유력하다. 결정권과 실무협상권을 가진 이들이 한자리에 모여 꼬인 정국을 풀어낼 수 있다는 기대다. 협상파인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도 4일 폴란드 출장에서 귀국해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회동을 재추진할 예정이다.
새누리당으로서는 ‘대화록 실종 검찰 수사’라는 고차방정식을 함께 풀어야만 하는 상황이다. 이번 파행은 표면적으로는 원세훈 전 국정원장,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에 대한 국정조사 특위의 사전 동행 명령장 발부 논란으로 벌어졌지만, 핵심은 검찰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 수사에 대한 민주당의 거부감이 컸기 때문이다.
국정조사 특위 민주당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국회 기자회견에서 “동행 명령장만 합의되면 민주당이 요구했던 게 전부 되는 것인 양 보도되는 걸 심히 우려한다”며 “원·판·김·세(원 전 원장, 김 전 청장,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 권영세 주중대사)가 반드시 청문회에 나와 말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새누리당이 해결하지 못한다면 박근혜 대통령이 나서서 해결하라”고 했다.
엄기영 정건희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