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장외투쟁 이틀째] “회군하라”-“촛불 강행” 與野 신경전 속 물밑접촉 병행

입력 2013-08-02 17:43 수정 2013-08-02 21:28

민주당 지도부가 장외투쟁 이틀째를 맞은 2일 “대선 불복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고 연신 강조했다. 이번 주말 기존 촛불집회 주최 측과 연대 집회가 예고된 가운데 새누리당의 ‘대선 불복 프레임’에 말려들지 않겠다는 의지 표현이다.

김한길 대표는 서울광장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은 대선 불복이나 선거 무효를 주장하는 게 아니라고 여러 차례 밝힌 바가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누리당과 청와대는 대선에 불복하는 것이 아니냐고 억지를 쓰고 있다. 대선에 불복해 달라고 부추기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도 “새누리당과 청와대가 대선 불복이라는 흠집으로 민주당의 광장 집회를 아무리 매도하더라도 그 진위와 진심은 국민들이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 의원 등이 “대선 불복이 아니다”고 수차례 공언했지만, 장외투쟁을 계기로 이 문제가 다시 부각될 조짐을 보이자 당 지도부가 3일 ‘민주주의 회복 및 국정원 개혁촉구 국민보고대회’를 하루 앞두고 당 공식 입장을 거듭 밝힌 셈이다. 핵심 당직자는 “새누리당에 대한 공세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선 불복 논란을 확실하게 차단해놔야 한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전했다.

민주당은 국민보고대회 1시간 후에 열리는 시민단체 주최 촛불집회에도 대부분 의원이 남아서 참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다만 김 대표의 참석 여부는 여전히 고심 중이다.

최고위원회의에 이어 열린 현장 의원총회에서는 검찰의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 수사와 정부의 개성공단 협상 등 현안에 대한 성토가 이어졌다. 김 대표도 “무소의 뿔처럼 거침없이 나아갈 것”이라고 결기를 보였다.

의원들은 의총 후 명동에서 국정원 댓글 의혹사건 쟁점을 담은 대국민홍보물을 시민들에게 나눠주며 거리선전전을 펼쳤다. 신경민 최고위원 등은 프레스센터에서 외신기자를 상대로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또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소속 변호사들도 오후 장외투쟁 현장을 방문해 국정원의 국내정보 수집 폐지 등을 민주당에 주문했다.

장외투쟁에는 83명의 의원들이 참여했다. 그러나 문재인 의원과 조경태 최고위원은 1일에 이어 이날도 불참했다.

한편 정대철 상임고문은 라디오에 출연해 민주당의 현 정국 대응을 놓고 “국정조사를 하기 위해 인내심으로 참았던 것 같은데 결과적으로는 전술적으로 (새누리당에) 백전백패했다”며 “야당이 여당의 시간 끌기와 (국조를) 안 하려는 전술에 말려 바보스럽게 된 느낌”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다만 장외투쟁에 대해선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옹호했다.

임성수 정건희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