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촛불’ 들기로 했지만… 지도부 참여 놓고 저울질

입력 2013-08-01 18:19 수정 2013-08-02 02:05


장외투쟁에 나선 민주당이 기존 촛불집회 주최 측과 연대키로 했다. 하지만 그 수준과 방식을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대선무효’ ‘박근혜 OUT’을 외치는 촛불시위대에 지도부와 국회의원들이 모두 합류하면 대선 불복으로 비춰져 역풍을 맞을 수도 있고, 반대로 선을 긋자니 투쟁 동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3일 오후 6시 서울 청계광장에서 ‘민주주의 회복 및 국가정보원 개혁 촉구 국민보고대회’를 연다. 참여연대를 비롯해 284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국정원 시국회의’의 대규모 촛불집회 1시간 전에 먼저 당 행사를 개최한다는 복안이다.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1일 “이번 주말 국민보고대회 후 촛불집회에 의원들이 참여하는 건 막지 않을 것”이라고 자연스런 합류 계획을 밝혔다. 김한길 대표도 서울광장에서 ‘국정원 시국회의’ 대표단과의 면담을 통해 “원내·외 병행투쟁을 선언하고 나온 만큼 어려운 싸움을 이끌어온 여러분의 조언을 듣고 어떻게 힘을 모을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대표단은 김 대표에게 촛불투쟁 동참을 요청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촛불집회에 당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참여할지, 향후 일정도 계속 함께할지에 대해선 ‘검토 중’이라는 게 공식입장이다. 당내 강경파가 촛불집회 합류를 외치는 반면 온건파는 ‘대선불복’ 구호가 난무하는 시위 자체가 새누리당에 또다른 공격 빌미를 제공할까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초선 의원은 “여러 개인이 집회에 모이는데 정당의 목표와 표현방식이 그들과 같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경희대 윤성이 교수는 “민주당이 진보 단체들의 촛불집회와 손 잡으면 손실이 더 많다”며 “당장은 세(勢)를 과시할 수 있겠지만 보수, 중도를 아우르는 외연확장에는 도움이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명지대 신율 교수도 “민주당이 당장 매달릴 건 장외투쟁이란 강경 목소리를 내는 친노무현계와 현 시국에서 주도권을 뺏긴 지도부와의 간극을 줄이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민주당이 최후의 대여(對與) 투쟁카드로 ‘촛불’을 들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당내 일각에선 2008년 ‘광우병 촛불’ 때와 같은 여론몰이를 기대하기도 한다. 지난 6월 21일부터 매주 토요일 열린 ‘국정원 시국회의’ 촛불집회에는 하루 최대 2만5000여명(경찰추산 6800명)이 참여했다.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은 “민주당으로선 다른 선택이 없다”며 “제1야당이 계속 밖에서 버티면 국회선진화법 때문에 여당 단독으로 법안을 통과시키기 어렵게 된 새누리당도 곤혹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아진 박요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