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 끝낸 朴 대통령 ‘NLL에 꼬인 정국’ 해법 찾나

입력 2013-08-02 05:24

여름 휴가차 남해안 저도에 내려갔던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로 복귀한 것으로 1일 전해졌다. 민주당이 장외투쟁에 나서면서 한가롭게 휴가지에서 쉴 수 없다고 판단한 듯하다. 따라서 휴가를 끝낸 박 대통령이 내놓을 정국 해법에 여야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정국을 풀기 위한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짜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에서는 청와대가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회담을 갖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얘기도 돌고 있다.

박 대통령은 2일까지 공식 휴가인 만큼 집무실로 출근하지 않은 채 청와대 관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민주당이 장외투쟁에 나선 배경부터 꼼꼼하게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 표면적으로는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국회 국정조사 활동을 새누리당이 조직적으로 방해한다는 이유를 내세우고 있지만, 여권에서는 “민주당 본심(本心)은 박 대통령과 청와대를 겨냥하고 있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원본이 국가기록원에서 사라진 이른바 ‘사초(史草) 실종’ 사태로 여론이 불리해지자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의 부정 의혹을 부각시켜 유리한 국면을 조성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국회 밖으로 나간 민주당에 곱지 않은 시선이 감지된다. “국민들이 먹고사는 문제로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데, 갑작스레 남재준 국정원장 해임과 대통령 사과를 요구하는 게 맞느냐”는 논리다. 청와대는 아직까지 “정치권에서 벌이진 논쟁에 우리가 끼어들지 않겠다”는 스탠스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회 차원의 일인데 뭐라 언급할 게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과 청와대가 야당의 원외투쟁을 계속 수수방관할 수는 없어 보인다. 9월부터 시작되는 집권 첫해 정기국회에서 처리할 민생 법안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여권에서도 127석의 민주당이 국회에서 강력 반대할 경우 법안의 국회통과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번 사안에 대해 청와대가 어떤 식으로든 답을 내놔야 할 국면”이라는 얘기가 정치권에서 제기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은 민주당의 장외투쟁에 대한 여론 추이를 예의주시하면서 꼬인 정국을 푸는 열쇠를 찾는 데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는 여론이 결코 야당 쪽에 호의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갖고 있다. 박 대통령이 “정쟁을 접고 민생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는 원론적 메시지를 넘어 새로운 카드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신창호 유동근 기자 procol@kmib.co.kr